집단기억은 역사학과 사회학을 비롯 문학과 영화, 대중문화 연구의 주요 주제다.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워낙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다 보니 집단기억연구에 일관성이나 체계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은 이러한 집단기억연구 분야에서 길을 찾기 위해 분투해 온 저자 제프리 올릭의 질문과 모색, 학문적 성과를 담고 있다.
목차
감수의 글 저자의 글
서문. 집단기억에서 후회의 정치까지 서사의 사회 독일의 역사가 논쟁 알브바슈의 유산 기억의 정역학과 역학 집단기억과 역사사회학 집단적 기억행위 후회의 정치 집단기억의 사회학과 후회의 정치사
PART 01 집단기억.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능동적 과거 chapter 1 집단기억. 두 개의 문화 집단기억의 유래 충돌하는 두 문화 개념 집합기억과 집단기억 사회기억 연구 chapter 2. 집단기억과 문화적 구속. 독일 정치의 홀로코스트 신화와 합리성 새로운 정치문화 분석과 해석학적 전환 문화적 구속의 신화적·합리적 논리 독일 정치문화의 홀로코스트 신화 의미의 역사체계로서 정치문화 chapter 3. 장르기억과 기억장르_독일 1945년 5월 8일 기념의 대화론적 분석 기념의 장르 효과 서독역사 속 1945년 5월 8일 장르기억이라는 렌즈 chapter 4. 기억의 결합태_과정-관계론적으로 접근한 독일 사례 집단기억의 해로운 가정 과정-관계론적 대안 개념 네 가지 새로운 시간주의자
PART 02 후회의 정치. 과거의 잘못을 대면하는 새로운 방식 chapter 5 후회의 정치. 분석틀 첫 번째 분석틀, 철학-법학담론 두 번째 분석틀, 이행론 역사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정치적 후회 정치적 후회의 물결 chapter 6후회의 가치. 가해자와 피해자로 나뉜 시대 아데나워의 타협 과거 유산을 둘러싼 두 가지 기준 남아프리카의 진실과 화해 위원회 올바르게 후회하는 시대 chapter 7 신정론에서 르상티망까지. 보상의 시대와 트라우마 르상티망 개념사 르상티망의 유산 르상티망과 근대성 분화된 역사적 유형론 chapter 8 집단기억과 만성적 시간분화. 역사성과 공론장 기억의 역사 기억과 근대성 변형된 시간성 근대성과 공론장 만성적 시간분화 다문화주의의 다조성 기억 정체성주의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성난 초콜릿 : 그럴듯하면서 확일할 수 없고 매우 가혹한 가십의 문화·사회사2013 / 조지프 엡스타인 지음 ; 박인용, 김양미 옮김 / 함께읽는책
성난 초콜릿 : 그럴듯하면서 확일할 수 없고 매우 가혹한 가십의 문화·사회사2013 / 조지프 엡스타인 지음 ; 박인용, 김양미 옮김 / 함께읽는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