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팔천(八賤)은 일반 백성들과 가장 가까이 살면서 다양한 직업에서 활약하며 조선의 발전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역사는 이들을 기록하지 않았고, 불과 최근세까지도 무시당하고 멸시받는 존재였다. 이 책은 현실에서도, 역사에서도 주목받지 못한 '여덟 천민'에 주목한다. <조선왕조실록>을 포함한 여러 역사서에서 찾아낸 천민들의 삶에 비친 조선의 역사를 들춘다.
목차
머리말_ 자유를 꿈꾸는 사람들
프롤로그_ 인간의 조건
노비도 백성이다 / 팔천의 빛과 그림자
나도 사람이 되고 싶다 - 노비
불운한 천재 송익필의 인간만사
미암 유희춘의 얼녀 면천기
천민의 최상위 계층, 공노비
짐승보다 못한 운명, 사노비
노비들의 꿈, 면천
도망친 노비를 잡아들여라
노비들의 형벌과 저항
노비가 많아야 양반
선녀인가 매화인가 - 기생
역사의 희생양으로 남은 장녹수
청사靑史에 이름을 새긴 황진이
원화인가 수척인가
일패에서 유녀까지
고달픈 성 노예들의 영광과 좌절
말을 알아듣는 꽃, 해어화
차라리 흥청망청
밤의 여인들
기생들의 기둥서방, 왈짜패
언저리도 안 되는 것들 - 백정
박성춘과 박서양의 해방일기
한반도에 갇혀버린 유목민족의 후예들
조선의 1급 요시찰 대상
이색적인 한양의 백정, 반촌 사람들
극단적인 백정 차별
백정들의 피눈물을 씻어다오
신나게 한번 놀아보세 - 광대
왕의 남자 공길
노는 물이 달라
유랑연예인의 시조 사당패
그래도 우리는 논다
자유를 대가로 차별을 얻다 - 공장
조선 최고의 장인, 장영실
조선의 기술 공무원, 공장
관장에서 사장으로
백자의 신기원을 연 분원 사기장
기술 분업의 집대성, 조총장
위정자들이여, 장인에게 배워라
병든 영혼을 해방시켜라 - 무당
토속신앙 무속의 사제들
영광에서 나락으로
음사의 주인공으로 낙인찍히다
신과 인간의 메신저
신명나게 놀아보자
만신, 신과 소통하는 강신무
단골, 굿을 예술로 승화시킨 세습무
조선은 유교의 나라다 - 승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조선의 아침, 불교의 황혼
조선에 불교는 필요 없다
누가 나의 외로움을 달래 주리오
내 죄를 씻는 길은 불교뿐
《경국대전》의 덫
선의 뿌리를 지켜라
호국불교의 전통을 세우다
승군에겐 밥도 주지 말라
미륵불이여 부디 현신하소서
문예부흥이 승려 잡는다
19세기 종교 탄압의 와중에서
망각의 강으로 인도하라 - 상여꾼
청산 가네 청산 가네
상여와 영여
이 집이 뉘 집 경사인고
상여꾼의 본적, 향도계
지배층의 꼼수, 향약
우리나라 상례 변천사
우리도 노예였다 - 신량역천ㆍ궁녀
세계의 천민 - 인도의 달리트ㆍ일본의 부라쿠민ㆍ유럽의 집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