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만리무운 시리즈 3권. 심리학을 통한 일상의 새로운 통찰이 무엇이며, 생활을 행복하게 꾸미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독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단지 고개만 끄덕이고 마는 것이 아니라, 머리와 가슴이 하나로 통해 무릎을 탁 치고 유쾌하게 웃을 수 있도록 이야기를 구성했다.
목차
추천의 글│융복합의 물결이 세상을 바꾸고 있다 / 이정모
서문│날렵한 진지함을 찾아
1부_ 심리학 맛보기
01_ 혈액형에 따라 사람의 성격은 달라지는 것일까?
02_ 넉넉한 몸을 가지고 있으면 온화한 성품을 가지고 있는가?
03_ 출생 순서에 따라 성격이 달라지는가?
04_ 성격이란 무엇인가?
05_ 성격을 이해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는 이론은 무엇인가?
06_ 쌍둥이는 성격도 비슷할까?
07_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가나요?
08_ 사람들의 얼굴 표정만 봐도 마음 상태를 알 수 있을까?
09_ 거짓말탐지기로 사람의 거짓말을 알 수 있을까?
10_ 거짓말은 왜 없어지지 않을까?
11_ 한국 사람과 외국인이 하는 거짓말은 다를까?
12_ 왜 똑똑한 사람이 사이비 종교에 빠지는가?
13_ 물건을 산 다음에도 광고를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14_ 착시 그림은 왜 알고 봐도 똑같이 보이는 것인가?
15_ 기차가 섰을 때 뒤로 가는 것처럼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16_ 사소한 일상과 큰 사건 중 스트레스를 더 많이 주는 것은 무엇인가?
17_ 스트레스를 받으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18_ 사람은 왜 고독한 것일까?
2부 _ 일상생활의 심리학
19_ 왜 지폐에 얼굴을 새겨 넣는가?
20_ 왜 남성보다 여성이 점을 더 잘 보러 갈까?
21_ 사람은 왜 불안함을 느끼는가?
22_ 마감이 임박한 상품은 왜 더 충동적으로 사게 되는 것일까?
23_ 만원보다 9,900원이 훨씬 싸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24_ 치매는 어떤 병인가?
25_ 고스톱은 치매 예방에 좋은가?
26_ 수줍음은 어떻게 이길 수 있는가?
27_ 사람들은 왜 복수를 하려고 하는가?
28_ 뇌는 정말로 10%만 사용하는 것일까?
29_ 좌뇌형 인간과 우뇌형 인간이라는 것이 있는가?
30_ 돈을 많이 벌어도 꼭 행복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31_ 사람은 어떻게 친해지는가?
32_ 잘되면 자기 탓, 안되면 남의 탓을 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33_ 결심을 해도 작심삼일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34_ 글을 컴퓨터로 보는 것과 책으로 보는 것, 어느 쪽이 나을까?
35_ 가짜 약을 먹어도 몸이 낫는 이유는 무엇인가?
36_ 명상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원리는 무엇인가?
3부 _ 심리학과 생각
37_ 사랑과 미움은 얼마나 차이가 있을까?
38_ 자살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39_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왜 나쁜가?
40_ 원하는 대로 이뤄진다는 말은 심리학적으로 정말 맞는 말인가?
41_ 모든 것을 다 기억한다면, 생각하는데, 사는데, 얼마나 도움이 될까?
42_ 왜 있는 그대로 기억하는 것이 힘들까?
43_ 나이가 들면 기억력이 정말 떨어지는가?
44_ 기억의 비법을 만드는 원리는 무엇인가?
45_ 어떤 것은 기억이 잘 나는 반면,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기억도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46_ 제3자가 확신에 가득차서 하는 말은 얼마나 믿을 수 있는가?
47_ 기억을 증진시켜 생각을 키우는 방법은 없는가?
48_ 똑같은 사람인데 왜 기억력이 차이가 날까?
49_ 왜 재미있던 기억과 슬픈 기억은 더 잘 떠오르는 것일까?
50_ 왜 똑똑한 사람은 무슨 공부든 잘하게 되는 것인가?
51_ 생각을 많이 하면 현명해질 텐데도, 실패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2_ 심리학은 최면이나 독심술을 연구하는 학문 아닌가요?
53_ 심리학은 무엇을 하는 학문인가?
54_ 심리학의 대표 분야는 무엇인가
부록│추천도서
마하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