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식 세계화에 대한 구상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한식을 세계화할 수 있고, 한식이 현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책이다. 저자는 외교관으로 세계 곳곳을 다니면서 체험한 생생한 경험과 지식을 통해 느낀 자신의 고민과 희망을 독자들에게 전해준다.
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프롤로그: 한식의 세계화를 위하여
CHAPTER 1 한식에 대한 냉정한 되돌아보기
01 게으른 한식: 대장금의 꾸지람이 두려워
02 한식당: '장터'이거나 누구네 집 '사랑방' 이거나
03 차진 쌀밥: 그 착 감기는 밥맛을 외국인에게 가르친다고?
04 우리가 비빔밥을 천대하는 것은 아닌지
05 기내식 비빔밥
06 첩첩 반상- 과유불급
07 간장: 너무 완벽하여 슬픈 그대여
08 갈비와 불고기의 한계
09 맛집은 서비스과 꽝이어도 돼
10 김치야, 미안해: 넌 조연이야
11 핑거푸드의 문제
12 미역국에 밥 말아 드세요
13 김 과정은 오늘도 고깃집으로: 육(肉)군이 없어
14 과학감 노출, 부담스러워: 부엌 & 식당 집기
15 흥부 손님, 놀부 주인
16 아이 음식에서의 가능성
CHAPTER 2 외국 음식 벤치마킹
01 럭셔리의 대가, 프랑스 음식
02 13억 명이 즐기는 중국식
03 세계화의 예비 주자: 인도 음식, 멕시코 음식, 중동 음식
04 강력한 조연 사이드 디시
05 일본에서 한 수 배우기: 창조적 짜깁기
06 싱가포르의 생선머리탕
07 브런치의 즐거움
08 세계 최고의 인기 면류, 파스타
09 미국을 상징하는 햄버거
10 간편한 식사의 대가, 피자
11 날생선의 성공 신화
12 벤치마킹의 대상, 딤섬
13 딘타이펑 메뉴 살펴보기
14 스모 VS. 씨름
CHAPTER 3 뉴 한식 플랫폼
01 뉴 한식 플랫폼
02 한식 레스토랑의 고급화
03 서비스 업그레이드
04 식기가 너무 많아요!
05 호텔 한식당
06 피맛골의 고민
07 《2010 자갓 서베이》분석
08 중식 메뉴 합병
09 장보고가 좋아한 럭셔리 레스토랑
10 우리가 우대하는 음식, 외국인이 좋아하는 음식
11 반찬을 구조 조정합시다
12 스카이 테라스에서 한식을
13 숟가락과 젓가락을 멋있게
14 메뉴판 영어의 세계화
15 한식당의 테스트 베드: 뉴욕
16 국과 탕에서 벗어나기
17 외국인 평가의 겉과 속
CHAPTER 4 뉴 한식의 대표주자
01 한식의 해체와 재결합
02 고추장을 주력 소스로
03 갈비와 불고기의 변신
04 생선구이 재창조는 셰프의 몫
05 또 하나의 가능성: 감자탕, 닭도리탕, 제육볶음
06 딤섬? 우리에게는 만두가 있잖아!
07 막걸리의 가능성
08 계절 과일 말고 다른 후식은 없나요?
09 소스를 개발하라
10 에피타이저 김치
11 미리 비벼서 나오는 비빔밥
12 국의 희망: 육개장
13 전을 서양의 브렉퍼스트로 공략해라
14 엉뚱한 제안: 추어탕
15 샐러드 드레싱에서 찾는 가능성
16 뉴 한식 메뉴 프레젠테이션
CHAPTER 5 한식으로 대박 내기 액션플랜
01 한식 업그레이드의 최대 원동력: 비즈니스맨
02 호텔은 뉴 한식당을 도입해야 한다
03 일반 식당의 서비스 업그레이드
04 셰프의 무한도전
05 식당 손님들은 부디 까다로워지시리
06 인테리어 디자이너 액션플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