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감사의 글
1 인상주의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왜 인상주의인가
2. 누가 인상주의자인가
3. 인상주의를 보는 미술사의 눈
- 전통과의 단절
- 서양미술의 전통을 계승한 자연스런 결과물
- 근대유럽의 보편성을 구현한 국제적 예술양식
- 부르주아 예술이 도달한 빛나는 절정
- 모던아트의 기원, 모더니티의 미학적 구성물
- 인상주의에 대한 수정주의적 관점
4. 인상주의를 사회학적으로 보는 방식
2 아방가르드 운동으로서 인상주의
1. 인상주의 운동의 기원
- 독립적 예술가의 위상과 아방가르드의 출현, 쿠르베의 행동주의
- 바티뇰 그룹과 바지유의 발상
2. 운동의 시작과 끝
- 운동의 개막과 절정
- 분열과 와해의 조짐
- 운동의 종료와 새로움의 모색
- 운동의 결실과 새로운 예술세계
3. 인상주의 운동의 아방가르드적 성격
- 행동주의
- 실험주의
4. 인상주의 운동의 리더십 문제
- 비공식적이고 상징적인 리더십, 마네
- 행동주의적 ‘이모셔널 리더’의 유형, 피사로
- 가장 인상주의적인 인상주의자, 모네
3 근대세계에 대한 해석자로서의 인상주의
1. 상상력, 스타일 그리고 주제
- 예술과 과학에서 상상력과 그 원천
- 스타일의 문제, 주제에 의한 변주와 새로운 종합화
- 새 패러다임과 새로운 주제군
2. 근대사회의 새 주역 대중
- 대중을 보는 눈
- 한 쌍의 두 종족-대립과 공존, 부르주아
- 프롤레타리아
3. 권력의 문제와 새로운 계급
- 근대권력에 대한 논란
- 근대권력의 중심축, 관료제와 관료
- 권력 주변의 새로운 계급, 지식인의 여러 얼굴
4. 산업화와 도시화, 일터로서의 공장과 생활공간으로서의 대도시
- 공장의 의미와 이미지
- 인상주의의 공장 묘사
- 공적인 공간으로서의 대도시와 도시인의 심리상태
- 여가와 스펙터클의 사회
5. 진보의 세기, 그리고 그 이면
- 운동에 대한 사회학적 디오라마와 19세기 프랑스 회화
- 진보의 이면, 공동체의 상실감
- 세기말의 불안감-아노미, 소외, 그리고 퇴락
4 국제적 양식으로서의 인상주의
1. 인상주의와 세계화의 연관성
- 세계회의 개념
- 역사적 맥락
2. 인상주의와 자포니슴 간의 상호교차성
- 우키요에 생성의 사회적 배경과 특징
- 인상주의 회화에 드러난 자포니슴의 영향
- 자포니슴과 동양-우키요에의 이데올로기적 이중성
- 자포니슴의 한계와 오리엔탈리즘적 성격
3. 세계화 국면의 인상주의-성공요인
- ‘딜러-비평가 체계’의 설명모델
- 전문적 비평가의 출현과 역할
- 새로운 예술세계의 주역, 딜러
- ‘딜러-비평가 체계’에서 ‘딜러-컬렉터-비평가 체계’로
4. 인상주의의 국제적 양식화(1)-서양
- 서구에서의 ‘인상주의적 충동’
- 미국의 인상주의
- 영국의 인상주의
- 독일의 인상주의
- 이탈리아의 인상주의
- 북유럽의 인상주의
- 서구 다른 나라들의 인상주의
5. 인상주의의 국제양식화(2)-일본과 한국
- 일본의 사양화 수용 과정
- 일본의 인상주의
- 한국의 인상주의
맺음말
보론
주석
참고문헌
그림목록
표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