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중국과 아랍지역의 활발한 교류를 경제적.문화적 차원에서 구체적 사례를 들어 설명한 책으로, 중국과 중동지역이 새로운 실크로드를 통해 결합하면서 세계경제를 재편하고 있는 흥미로운 현상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두 지역경제에 관한 해박한 지식과 베이징, 카이로, 두바이와 리야드의 거리에서 얻은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감과 박진감이 넘치는 이야기를 펼쳐나가고 있다.
목차
옮긴이의 글
머리말: 왜 아랍은 서구를 등지고 중국과 손잡는가
제1장 아랍 세계, 실크로드를 타고 중국을 재발견하다
외국 무역상인의 메카, 중국의 이우(義鳥) 시
아랍 무역상, 이우를 발견하다
실크로드의 종착역 이우, 세계경제를 재편하다
실크로드를 따라 다마스쿠스에 가다
아랍 세계로 진출하는 중국 상인들
제2장 중국의 석유자본과 세계의 오일 경쟁
중국, 석유 수요 증가로 아랍 산유국에 의존하다
중국의 중요한 파트너, 사우디아라비아
세계의 석유전쟁
경제외교의에 집중하는 중국
제3장 ‘이슬람 회랑’을 따라 돈이 움직인다
아랍권, 세계 금융시장에서 도약하다
다양한 아랍 국부펀드
9·11테러 이후 투자환경이 변하다
아랍과 미국의 긴장관계
중국의 국부펀드
아랍 투자자, 세계경제의 강자가 되다
제4장 아랍 세계, 중국을 벤치마킹하다
중국 무역상인들, 다마스쿠스에 오다
중국의 부상과 깨어나는 아랍 세계
새로운 시리아, 중국을 모델로 삼다
과연 중국 모델이 아랍 세계에 적합한가
아랍세계의 자존심 이집트
중국의 ‘Go Global’정책
제5장 젊은 여성 노동력, 아랍 세계를 바꾸다
중국 여성 무역상, 아랍으로 진출하다
젊은 아랍 여성 노동자들의 현실
아랍 세계의 변화: 모로코의 여성 노동자들
아랍 청년들의 실업 문제
제6장 중국, 세계 미디어 전쟁에 뛰어들다
중국, 알자자리 방송에 진출하다
알자지라 방송에 대한 중국의 대처
중국 미디어의 세계 홍보전쟁
서구의 미디어 독점 시대는 갔다
아랍 세계에서 중국 미디어의 전략적 성공
귀 기울여야 할 아랍 미디어
다마스쿠스의 생생한 경험들
제7장 중국에서 떠오르는 아랍어
아랍어의 부상
‘푸스하’, 실크로드의 토대가 되다
아랍어를 이용해 아랍 세계에 접근하려는 중국
점점 더 중요해지는 아랍어와 중국어
제8장 새로운 힘의 중심축, 서구에 영향을 끼치다
작은 움직임이 모여 큰 변화를 일으키다
과연 실크로드는 계속 이어질까
아랍 세계의 중국 성장 모델과 서구의 대응책
서구는 아랍 투자가와 함께 사는 법을 배워야
실크로드, 단순 무역로를 넘어서다
석유 안보를 위해 서구가 노력해야 할 점들
중국의 이슬람 소수민족 문제
아랍의 개인 무역상을 주목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