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학 마당
우리나라 가족의 호칭·지칭어에 대한 연구
Ⅰ. 머리말
Ⅱ. 가족 호칭·지칭어
1. 가족 호칭에 대한 앞선 연구
2. 발화 상황에 따른 호칭의 분류
3. 서술의 편이와 자료 활용의 편의를 위한 기술의 차례
4. 호칭·지칭의 실현
Ⅲ. 마무리하며
황해 북쪽 끝 섬 '대청도'의 방언 연구
Ⅰ. 들머리
Ⅱ. 대청도의 방언
1. 주성분으로 쓰이는 어휘
2. 부속 성분
3. 그 밖
4. 대청도 방언의 특징
Ⅲ. 맺으며
우리 토박이말 앞가지의 의미 연구
Ⅰ. 시작하며
Ⅱ. 앞가지의 의미
Ⅲ. 맺으며
정도 부사의 자질·등급화에 관한 연구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앞선 연구들
3. 연구 범위 및 방법
4. 용어의 정의
Ⅱ. 본론
1. 정도 부사의 특성
2. 생략 조건과 생략문에서의 공기 관계
3. 정도 부사의 자질 및 등급 분석
Ⅲ. 결론
'삼목도'의 지명에 대하여
국어교육학 마당
읽기 전략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텍스트 수용 능력 신장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
Ⅱ. 이론적 배경
1. 읽기 전략에 관한 탐색
2.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탐색
3. 텍스트의 조건과 개발의 필요성 탐색
4. 수용 이론에 관한 탐색
5. 읽기 교수·학습 모형 탐색
6. 교육과정 분석
7. 개별화 지도에 관한 이론 탐색
8. 앞 선 연구
Ⅲ. 연구의 설계
1. 연구 대상
2. 연구 기간
3. 연구 절차
4. 연구의 방법
5. 연구의 검증 계획
Ⅳ. 실태 분석 및 실행 중점 설정
1. 실태 분석
2. 연구 문제
3. 실행 목표 설정
Ⅴ. 연구의 실행
1. 실행 중점 'Ⅰ'의 실행
2. 실행중점 'Ⅱ'의 실행
3. 실행중점 'Ⅲ'의 실행
Ⅵ. 검증 및 평가
1. 검증 내용과 방법
2. 검증 결과
Ⅶ. 결론
연상적 사고 과정을 통한 표현 능력 신장 연구 - 그림 보고 이야기 꾸미기와 글의 내용 바꾸거나 잇기를 중심으로 -
Ⅰ. 서론
가. 연구의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다. 실태조사
라. 실행중심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분석
가. 문헌 연구
나. 연구의 이론적 배경
다. 현장 연구 분석
라. 용어의 정의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가. 연구 기간
나. 연구 대상
다.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의 실제
가. 실행 중점 1의 실천
나. 실행 중점 2의 실천
다. '실행 중점 3'의 실천
라. 지도계획
마. 차시별 지도 계획
바. 그림 보고 이야기 꾸미기 수업 장면
Ⅴ. 검증 및 평가
가. 검증 내용과 방법
나. 검증 평가의 실제
Ⅵ. 결론
만남의 마당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의 재구성을 통한 '인천의 얼' 지도 시안
Ⅰ. 들머리
Ⅱ. 교수·학습 과정의 재구성
1. 제재별 학습 요소 분석을 통한 '인천의 얼' 지도 계획
2. 교수·학습 과정안의 예
Ⅲ. 맺음말
대동문화연구소편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문제에 대하여
Ⅰ. 들머리
Ⅱ. 문법 체계의 문제점과 그 제안
1. 품사 설정
2. 단어의 형성
3. 시제의 구분
4. 높임과 낮춤의 등급
5. 단모음 처리
6. 문법 용어
Ⅲ. 맺음말
국어과 교과서의 오류 고찰 - 중학 국어 1학년 1·2학기를 중심으로 -
Ⅰ. 들어가며
Ⅱ. 오류나 부자연스런 문장 고찰
1. 내용이 잘못된 것
2. 부자연스러운 문맥이나 표현
3. 용어 문제
4. 월점찍기
5. 맞춤법과 띄어쓰기
6. 그 밖에
Ⅲ. 나가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