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국어학 마당
우리나라 가족의 호칭·지칭어에 대한 연구
Ⅰ. 머리말
Ⅱ. 가족 호칭·지칭어
1. 가족 호칭에 대한 앞선 연구
2. 발화 상황에 따른 호칭의 분류
3. 서술의 편이와 자료 활용의 편의를 위한 기술의 차례
4. 호칭·지칭의 실현
Ⅲ. 마무리하며
황해 북쪽 끝 섬 '대청도'의 방언 연구
Ⅰ. 들머리
Ⅱ. 대청도의 방언
1. 주성분으로 쓰이는 어휘
2. 부속 성분
3. 그 밖
4. 대청도 방언의 특징
Ⅲ. 맺으며
우리 토박이말 앞가지의 의미 연구
Ⅰ. 시작하며
Ⅱ. 앞가지의 의미
Ⅲ. 맺으며
정도 부사의 자질·등급화에 관한 연구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앞선 연구들
3. 연구 범위 및 방법
4. 용어의 정의
Ⅱ. 본론
1. 정도 부사의 특성
2. 생략 조건과 생략문에서의 공기 관계
3. 정도 부사의 자질 및 등급 분석
Ⅲ. 결론
'삼목도'의 지명에 대하여

국어교육학 마당
읽기 전략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텍스트 수용 능력 신장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
Ⅱ. 이론적 배경
1. 읽기 전략에 관한 탐색
2.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탐색
3. 텍스트의 조건과 개발의 필요성 탐색
4. 수용 이론에 관한 탐색
5. 읽기 교수·학습 모형 탐색
6. 교육과정 분석
7. 개별화 지도에 관한 이론 탐색
8. 앞 선 연구
Ⅲ. 연구의 설계
1. 연구 대상
2. 연구 기간
3. 연구 절차
4. 연구의 방법
5. 연구의 검증 계획
Ⅳ. 실태 분석 및 실행 중점 설정
1. 실태 분석
2. 연구 문제
3. 실행 목표 설정
Ⅴ. 연구의 실행
1. 실행 중점 'Ⅰ'의 실행
2. 실행중점 'Ⅱ'의 실행
3. 실행중점 'Ⅲ'의 실행
Ⅵ. 검증 및 평가
1. 검증 내용과 방법
2. 검증 결과
Ⅶ. 결론
연상적 사고 과정을 통한 표현 능력 신장 연구 - 그림 보고 이야기 꾸미기와 글의 내용 바꾸거나 잇기를 중심으로 -
Ⅰ. 서론
가. 연구의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다. 실태조사
라. 실행중심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분석
가. 문헌 연구
나. 연구의 이론적 배경
다. 현장 연구 분석
라. 용어의 정의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가. 연구 기간
나. 연구 대상
다.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의 실제
가. 실행 중점 1의 실천
나. 실행 중점 2의 실천
다. '실행 중점 3'의 실천
라. 지도계획
마. 차시별 지도 계획
바. 그림 보고 이야기 꾸미기 수업 장면
Ⅴ. 검증 및 평가
가. 검증 내용과 방법
나. 검증 평가의 실제
Ⅵ. 결론

만남의 마당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의 재구성을 통한 '인천의 얼' 지도 시안
Ⅰ. 들머리
Ⅱ. 교수·학습 과정의 재구성
1. 제재별 학습 요소 분석을 통한 '인천의 얼' 지도 계획
2. 교수·학습 과정안의 예
Ⅲ. 맺음말
대동문화연구소편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문제에 대하여
Ⅰ. 들머리
Ⅱ. 문법 체계의 문제점과 그 제안
1. 품사 설정
2. 단어의 형성
3. 시제의 구분
4. 높임과 낮춤의 등급
5. 단모음 처리
6. 문법 용어
Ⅲ. 맺음말
국어과 교과서의 오류 고찰 - 중학 국어 1학년 1·2학기를 중심으로 -
Ⅰ. 들어가며
Ⅱ. 오류나 부자연스런 문장 고찰
1. 내용이 잘못된 것
2. 부자연스러운 문맥이나 표현
3. 용어 문제
4. 월점찍기
5. 맞춤법과 띄어쓰기
6. 그 밖에
Ⅲ. 나가며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어의 어제 그리고 오늘 한국어의 어제 그리고 오늘 2009 / 조오현 외 저 / 역락
(중앙일보어문연구소가 펴낸) 우리말 바루기 (중앙일보어문연구소가 펴낸) 우리말 바루기 2014 / 글: 중앙일보어문연구소 / HadA(하다)
(중앙일보어문연구소가 펴낸) 우리말 바루기 (중앙일보어문연구소가 펴낸) 우리말 바루기 2014 / 글: 중앙일보어문연구소 / HadA(하다)
한국어와 한국문화 한국어와 한국문화 2005 / 천소영 글 / 우리책
한글민주주의 한글민주주의 2012 / 최경봉 지음 / 책과함께
한글민주주의 한글민주주의 2012 / 최경봉 지음 / 책과함께
중국어란 무엇인가 중국어란 무엇인가 1999 / 최영애 저 / 통나무
국어학과 국어교육학의 만남 국어학과 국어교육학의 만남 2010 / 최오남 지음 / 박이정
한국실용글쓰기  : 기본이론서 한국실용글쓰기 : 기본이론서 2008 / 최운선 ; 배상복 공편 / 한국교육문화원
(우리말 지킴이 최종규가 들려주는)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우리말 지킴이 최종규가 들려주는)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2011 / 최종규 글 ; 호연 그림 / 철수와영희
(우리말 지킴이 최종규가 들려주는)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우리말 지킴이 최종규가 들려주는)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2011 / 최종규 글 ; 호연 그림 / 철수와영희
뿌리 깊은 글쓰기  : 우리 말로 끌어 안는 영어 뿌리 깊은 글쓰기 : 우리 말로 끌어 안는 영어 2012 / 최종규 씀 / 호미
쉬운 말이 평화 : 청소년 우리말 특강 쉬운 말이 평화 : 청소년 우리말 특강 2021 / 지음: 최종규 / 철수와영희
쉬운 말이 평화 : 청소년 우리말 특강 쉬운 말이 평화 : 청소년 우리말 특강 2021 / 지음: 최종규 / 철수와영희
(말 잘하고 글 잘 쓰게 돕는) 읽는 우리말 사전 : 돌림풀이와 겹말풀이 다듬기. 1 (말 잘하고 글 잘 쓰게 돕는) 읽는 우리말 사전 : 돌림풀이와 겹말풀이 다듬기. 1 2017 / 지음: 최종규 / 자연과생태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문화어 수업: 다음 세대를 위한 요즘 북한 말, 북한 삶 안내서 문화어 수업: 다음 세대를 위한 요즘 북한 말, 북한 삶 안내서 2019 / 한성우, 설송아 지음 / 어크로스
(공부도 인생도) 국어에 답 있다 : 허철구 교수의 국어 에세이 (공부도 인생도) 국어에 답 있다 : 허철구 교수의 국어 에세이 2018 / 지은이: 허철구 / 알투스
한글마스터 = Hangeul master 한글마스터 = Hangeul master 2014 / written and designed by Talk To Me In Korean ; 선윤아 디자인 ; 장성원 삽화 / 롱테일북스
한국인의 文字생활 한국인의 文字생활 2013 / 沈在箕 著 / 語文政策正常化推進會
(보리국어사전을 편찬한 윤구병 선생님의)내 생애 첫 우리말 (보리국어사전을 편찬한 윤구병 선생님의)내 생애 첫 우리말 2016 / 지음: 윤구병 / 천년의상상
(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 (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 2004 / 남영신 지음 / 리수
한국어교육과 양태표현 한국어교육과 양태표현 2013 / 안주호 저 / 한국문화사
도사리와 말모이, 우리말의 모든 것 도사리와 말모이, 우리말의 모든 것 2010 / 지음: 장승욱 / 하늘연못
(읽고 쓰기를 위한) 한국어 문법  : TOPIK을 위한 문법 (읽고 쓰기를 위한) 한국어 문법 : TOPIK을 위한 문법 2018 / 지은이: 이현희 ; 신호철 ; 이화진 ; 배현대 ; 김보경 ; 이은선 ; 유슬기 ; 김두희 / 한국문화사
(우리말, 지친 어깨를)토닥이다 (우리말, 지친 어깨를)토닥이다 2014 / 조현용 지음 / 하우
(알토란)한국어 어휘 : 중·고급 : 한국어능력시험Ⅱ(TOPIK Ⅱ)완벽대비와 유창한 한국어 구사를 위한 필독서 (알토란)한국어 어휘 : 중·고급 : 한국어능력시험Ⅱ(TOPIK Ⅱ)완벽대비와 유창한 한국어 구사를 위한 필독서 2015 / 최권진, 송경옥 [공저] / 소통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 한국어 문화언어학 강의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 한국어 문화언어학 강의 2017 / 씀: 조현용 / 하우
한국어가 사라진다면 한국어가 사라진다면 2003 / 시정곤 등저 / 한겨레신문사
한글박물관  : 글누리의 모음 한글박물관 : 글누리의 모음 2011 / 박창원 지음 / BM성안당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2016 / 지음:최경봉 / 일조각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