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들어가는 말
제1부 청대 실학과 담사동의 사상
제1장 청대 사상의 흐름
제2장 청말 사상계의 혜성, 담사동의 '인학(仁學)'
1. 담사동의 생애
2. '인학' - 도리로서 '인'과, 물리로서 '학'
제2부 관계와 소통의 원리 구축
제1장 철학과 과학의 만남
1. 기(氣)에서 '에테르'로
2. 평등의 원리로서 에테르와 인(仁)
제2장 전통가치관 인식의 변화
1. 변통의 지향
2. 이름의 절대화와 실질의 문제
3. 명교와 예교의 비판
제3장 평등의 인간관계론
1. 남과 나의 소통 - 인아통(人我通)
2. 남녀평등론
제3부 가야 할 새로운 길
제1장 중국의 길, 사람의 길
1. 날마다 새로운 역동의 삶
2. 길은 '통하여' 있다
제2장 서체중용과 전반서화(全般西化)
제3장 대동태평세의 역사 변화
1. 역순삼세설의 역사 변화
2. 현실 변혁자, 공자
제4부 새로운 이성 찾기 - 정감의 철학
제1장 욕망 속의 이성
1. 자연에 순응하는 삶
2. 이성과 욕망의 문제
제2장 정감에 대한 인식의 전환
1. 자연의 인간, 인간의 자연
2. 정감 표출의 정당성
3. 정감의 공유
제5부 정감 실현을 위한 시스템의 변화
제1장 새로운 정치 시스템의 추구
1. 민본론의 전개
2. 민주정치 시스템으로
제2장 개혁 의지의 중요성
제3장 자연과학과 심학, 물리와 도리의 문제
제4장 근대 자본주의 시스템 수용의 요구
제6부 담사동의 저작 절선
제1장 「이태설(以太說)」
제2장 「논학자부당교인(論學者不當驕人)」
제3장 「사편(思篇)」
제4장 「보패원징(報貝元徵)」
제5장 「인학(仁學)」
결론: 담사동 철학의 사상사적 의의
1. 인(仁)을 따라 죽다
2. 절대 진리에 대한 회의
3. 멈추어야 할 전제(專制), 가고 싶은 근대
4. 신해혁명, 5·4운동 그리고 현대 신유학의 가교
부록
연보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