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숭고와 미의 근원을 찾아서 : 쾌와 고통에 대한 미학적 탐구
발행연도 - 2010 / 에드먼드 버크 지음 ; 김혜련 옮김 / 한길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38726
-
ISBN
9788935661107
-
형태
297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형이상학
>
존재론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예술이론
>
예술론/미학
책소개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시리즈 64권. 영국에서 가장 위대한 정치 저술가로 꼽히는 에드먼드 버크의 최조이자 유일한 미학 저작으로, 서양 미학의 양대 핵심 개념인 숭고를 미와 독립적인 미학개념으로 다룬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이다. 버크는 “숭고와 미의 관념들이 흔히 혼동되는 것, 그리고 그 관념들이 매우 판이한 것들에, 때로는 완전히 반대되는 본성에 속한 것에 무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을 보았다”며 당시 숭고의 개념에 반기를 든다.
목차
이미지와 텍스트 그리고 감정의 수사학 / 김혜련
편집자 필립스의 서론
간추린 참고문헌
초판에 부치는 서문
재판에 부치는 서문
취미에 관한 서론
제1부 - 정념의 종류에 관한 고찰
제1절. 참신성
제2절. 고통과 쾌
제3절. 고통의 제거와 적극적인 쾌의 차이
제4절. 유적(愉適)과 쾌의 대조
제5절. 기쁨과 비탄
제6절. 자기보존에 속하는 정념에 관하여
제7절. 숭고에 관하여
제8절. 사회에 속한 정념에 관하여
제9절. 자기보존에 속한 정념과 성의 사회와 연관한 정념의 차이의 목적인(目的因)
제10절. 미에 관하여
제11절. 사회와 고독
제12절. 공감, 모방 그리고 야망
제13절. 공감
제14절. 타인의 불행에 대한 공감의 효과
제15절. 비극의 효과에 관하여
제16절. 모방
제17절. 야망
제18절. 논의 요약
제19절. 결론
제2부 - 숭고의 근원
제1절. 숭고에 의해 야기되는 정념에 관하여
제2절. 공포
제3절. 불명료성
제4절. 정념의 명료성과 불명료성의 차이에 관하여
제4절. 계속
제5절. 힘
제6절. 결여
제7절. 광대(廣大)
제8절. 무한
제9절. 연속과 균등
제10절. 건축물의 규모
제11절. 쾌를 환기시키는 대상의 무한성
제12절. 난도
제13절. 장려
제14절. 빛
제15절. 건축 조명
제16절. 숭고를 유도하는 색
제17절. 소리와 굉음
제18절. 급변
제19절. 단속성(斷續性)
제20절. 동물의 울음소리
제21절. 냄새와 맛, 쓴맛과 악취
제22절. 느낌과 통각
제3부 - 미의 근원
제1절. 미에 관하여
제2절. 비례는 식물들의 미의 원인이 아니다
제3절. 비례는 동물들의 미의 원인이 아니다
제4절. 비례는 인체의 미의 원인이 아니다
제5절. 비례에 관한 재고(再考)
제6절. 적합성은 미의 원인이 아니다
제7절. 적합성의 진정한 효과
제8절. 논의 요약
제9절. 완전성은 미의 원인이 아니다
제10절. 미의 관념은 마음의 성질에 어느 정도까지 적용되는가
제11절. 미의 관념은 얼마나 덕에 적용되는가
제12절. 미의 참된 원인
제13절. 아름다운 사물은 작다
제14절. 매끄러움
제15절. 점층적 변화
제16절. 섬세함
제17절. 색채의 미
제18절. 논의 요약
제19절. 인상학
제20절. 눈[目]
제21절. 추(醜)
제22절. 우미
제23절. 우아함과 허울 좋음
제24절. 촉각의 미
제25절. 청각의 미
제26절. 미각과 후각
제27절. 숭고와 미의 비교
제4부 - 감각의 효과들
제1절. 숭고와 미의 작용인에 관하여
제2절. 연합
제3절. 고통과 공포의 원인
제4절. 고통과 공포의 원인(계속)
제5절. 숭고는 어떻게 산출되는가
제6절. 고통은 어떻게 유적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
제7절. 부드러운 기관들을 위해 필요한 운동
제8절. 왜 위험하지 않은 것들이 공포와 유사한 정념을 산출하는가
제9절. 왜 거대한 시각적 대상들은 숭고한가
제10절. 통일성은 왜 장대함에 필수적인가
제11절. 인공적 무한
제12절. 진동은 유사해야 한다
제13절. 시각 대상에서 연속의 효과
제14절. 암흑에 관한 로크의 견해에 대한 고찰
제15절. 암흑은 본성상 공포스럽다
제16절. 왜 암흑은 공포스러운가
제17절. 흑색의 효과들
제18절. 완화된 흑색의 효과
제19절. 사랑의 신체적 원인
제20절. 왜 매끄러운 것이 아름다운가
제21절. 단맛의 본성
제22절. 단맛의 완화 효과
제23절. 변화는 왜 아름다운가
제24절. 왜소함에 관하여
제25절. 색채에 관하여
제5부 - 언어와 정념의 관계
제1절. 언어에 관하여
제2절. 시의 공통 효과 : 사물들의 관념을 환기시키지 않는다
제3절. 일반 명사는 관념들에 선행한다
제4절. 언어의 효과
제5절. 이미지를 환기시키지 않는 낱말이 낳는 효과의 예
제6절. 엄밀한 의미에서 시는 모방 예술이 아니다
제7절. 언어는 어떻게 정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드먼드 버크 연보
숭고, 승화를 향해 나아가나 완전한 초월에는 이르지 않는 것│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