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패전국 일본과 해방을 맞은 식민지 제국에게 8월 15일은 과연 어떤 의미이며, 어떤 역사적 유산을 남겼을까? 이 책은 일본 패망 전후의 국제관계와 세력판도, 연합국 내부의 협력과 갈등, 패전을 맞은 일본과 해방을 맞는 각 식민지의 모습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종전사의 입문서 역할을 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제1장 포츠담선언-트루먼의 독선과 소련의 준동
트루먼의 '세계구상'
동요하는 포츠담선언
트루먼의 독선과 소련 경시
중국의 '이중 굴욕'
스탈린의 대일 참전계획
일본에 대한 소련의 태도

제2장 도쿄-‘제국’ 해체의 길
가동되지 못한 외교 루트
짙어진 패색
소련의 대폭양보 제안
외무성의 인식
화평공작의 목적
애매한 대응의 귀결
소련의 대일 선전포고
소련참전의 충격
8월 9일 회의-분열된 내각
첫 번째 성단-포츠담선언 수락
연합국의 대응과 의도
'번즈 회답안'을 둘러싼 대립
스즈키 간타로의 고독한 싸움
황족·왕공족의 참집參集
8월 13일 각의-수락인가 재조회인가
종전을 위한 '성단'
운명의 8월 15일
'제도'에 집착한 천왕
'정당한 절차'에 대한 집요한 추구
왜 '성단'이 필요했을까
워싱턴에서 발표된 일본의 항복 소식
'민간인 포기' 지시
대일본제국의 자기부정

제3장 경성-꿈의 ‘해방’
소련의 조선 침공
조선인 지도자에 대한 권한이양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결성
조석총독부의 기능부전
일본인 조직의 결성
조선군의 막강한 군비
평온한 패전 후의 10일간
조선인단체의 난립과 군의 개입
'건준'을 단념한 총독부
미군의 진주-일본의 조선지배 증언
'그저 쓴웃음을 지을 뿐'
조선공산당의 등장과 총독의 귀환
민간인 귀환
조선독립에 대한 영·미의 저평가
30분 만에 결정된 '38도선'
소련군의 진주와 일본군의 무장해제
민족계와 공산계의 균형
김일성의 등장
'주어진 독립'의 고충
미국이 선택한 이승만
암살·숙청·행방불명
'9월 9일'의 굴욕

제4장 타이베이-‘항복’과 ‘광복’ 사이
군사기지화-타이완 총독과 군사령관의 일체화
오키나와 함락 후 총독부의 대응
옥음방송
타이완 유력인사의 움직임
타이완 주민의 정치운동
안도 총독과 린시엔탕의 회견
일본인의 특이한 패전의식
국민정부의 타이완 접수
국부군의 타이완 진주
장제스의 타이완 접수
독자적인 민족과 역사
무조건 항복
중국의 접수와 경제악화
일본인에 대한 차가운 시선
미국의 정책전환에 따른 조기 해산·철수
유용留用과 '류교琉僑'
총독의 자결
2·28사건
“개가 물러가니 돼지가 왔다.”

제5장 충칭重慶, 신징新京-‘연합국’ 중국의 고뇌
장제스의 굴욕
알타밀약
몽골 독립문제
장제스에 대한 무배려
소련의 대일참전과 중소교섭
지구전으로 전환한 관동군
재만 일본인의 비극
소련침공과 관동군의 이완
만주국 정부의 대응
거류민 피난과 관동군의 저항
푸이의 도피와 천도
푸이가 들은 옥음방송
만주국 해산
소련군에 붙잡힌 황제
무방비도시 선언 거부
소련군과의 교섭
일제 연행
소련군의 악행
관동군의 소멸
관동군 지배의 대가
만철의 소멸
민간인 주도의 일본인 조직
관동주
미소교섭에 의한 귀환
중공군의 진격
이덕보원以德報怨의 의미
끝나지 않은 '설욕'
지나파견군의 항복
국공 대립과 소련군의 철수
만주국 멸망, 사라진 역사

제6장 남양군도, 사할린-잊혀진 ‘제국’
남양군도-위임통치에서 일본령으로
사이판 함락
오키나와 점령정책의 원형
남양청의 붕괴
섬마다 이루어진 항복문서 조인
'제국신민' 의식
희미해지는 남양군도의 기억
식민지·사할린
치시마 열도의 방비
대미전 중시 방위
소련군의 사할린 침공
옥음방송 후에도 계속된 전투
소련의 북치시마 상륙
훗카이도 점령 요구
도요하라 공습
소련령 편입
소련 점령 하의 생활
소수민족의 귀환
남겨진 민족

제7장 ‘제국’ 붕괴와 동아시아
항복문서의 조인
'대동아공동선언'의 모순
'황민화'의 논리
중국과 몽골의 대일협력자들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
필리핀·인도네시아·인도
타이
8월 15일과 새로운 역사상

후기
옮긴이 후기

참고자료
참고문헌
관련연표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도쿄재판 : 전범 일본을 재판하다 도쿄재판 : 전범 일본을 재판하다 2023 / 지음: 청자오치 ; 옮김: 정동매, 오림홍 / 예문서원
종전의 설계자들  : 1945년 스탈린과 트루먼, 그리고 일본의 항복 종전의 설계자들 : 1945년 스탈린과 트루먼, 그리고 일본의 항복 2019 / 지음: 하세가와 쓰요시 ; 옮김: 한승동 / 메디치
일본의 가장 긴 하루 일본의 가장 긴 하루 1996 / 한도 가즈토시 저 ; 이정현 역 / 가람기획
쇼와 유신  : 성공한 쿠데타인가, 실패한 쿠데타인가 쇼와 유신 : 성공한 쿠데타인가, 실패한 쿠데타인가 2018 / 저자: 한상일 / 까치글방
쇼와 유신  : 성공한 쿠데타인가, 실패한 쿠데타인가 쇼와 유신 : 성공한 쿠데타인가, 실패한 쿠데타인가 2018 / 저자: 한상일 / 까치글방
1★9★3★7 : 이쿠미나 1★9★3★7 : 이쿠미나 2020 / 지음: 헨미 요 ; 옮김: 한승동 / 서커스
일본군의 패인  : 실패한 군대의 조직론 일본군의 패인 : 실패한 군대의 조직론 2016 / 지음: 후지이 히사시 ; 옮김: 최종호 / 논형
대일본제국 붕괴 : 1945년 일본의 패망과 동아시아 대일본제국 붕괴 : 1945년 일본의 패망과 동아시아 2010 / 가토 기요후미 지음 ; 안소영 옮김 / 바오
(1945년 8월 15일,) 천황 히로히토는 이렇게 말하였다 : '종전조서'800자로 전후 일본 다시읽기 (1945년 8월 15일,) 천황 히로히토는 이렇게 말하였다 : '종전조서'800자로 전후 일본 다시읽기 2004 / 고모리 요이치 지음 ; 송태욱 옮김 / 뿌리와이파리
(1945년 8월 15일,) 천황 히로히토는 이렇게 말하였다 : '종전조서'800자로 전후 일본 다시읽기 (1945년 8월 15일,) 천황 히로히토는 이렇게 말하였다 : '종전조서'800자로 전후 일본 다시읽기 2004 / 고모리 요이치 지음 ; 송태욱 옮김 / 뿌리와이파리
'전후'의 탄생  : 일본, 그리고 '조선'이라는 경계 '전후'의 탄생 : 일본, 그리고 '조선'이라는 경계 2013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 권혁태 ; 차승기 엮음 / 그린비출판사
'전후'의 탄생  : 일본, 그리고 '조선'이라는 경계 '전후'의 탄생 : 일본, 그리고 '조선'이라는 경계 2013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 권혁태 ; 차승기 엮음 / 그린비출판사
패배를 껴안고  :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 패배를 껴안고 :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 2009 / 존 다우어 지음 ; 최은석 옮김 / 민음사
패배를 껴안고  :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 패배를 껴안고 :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 2009 / 존 다우어 지음 ; 최은석 옮김 / 민음사
패배를 껴안고  :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 패배를 껴안고 :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 2009 / 존 다우어 지음 ; 최은석 옮김 / 민음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2, 아스카·나라 - 아스카 들판에 백제꽃이 피었습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2, 아스카·나라 - 아스카 들판에 백제꽃이 피었습니다 2013 / 유홍준 지음 / 창비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일본편. 3, 교토의 역사 : 오늘의 교토는 이렇게 만들어졌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일본편. 3, 교토의 역사 : 오늘의 교토는 이렇게 만들어졌다 2014 / 유홍준 지음 / 창비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4, 교토의 명소 - 그들에겐 내력이 있고 우리에겐 사연이 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4, 교토의 명소 - 그들에겐 내력이 있고 우리에겐 사연이 있다 2014 / 유홍준 지음 / 창비
동물 농장 동물 농장 2021 / 지음: 조지 오웰 ; 옮김: 도정일 / 민음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제주편 :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 : 제주편 여름 특별판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제주편 :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 : 제주편 여름 특별판 2021 / 지음: 유홍준 / 창비
한국인의 일본사 한국인의 일본사 2008 / 정혜선 지음 / 현암사
미드웨이 해전  : 태평양전쟁을 결정지은 전투의 진실 미드웨이 해전 : 태평양전쟁을 결정지은 전투의 진실 2019 / 지음: 조너선 파셜 ; 앤서니 털리 ; 옮김: 이승훈 / 일조각
카탈로니아 찬가 카탈로니아 찬가 2001 / 조지 오웰 지음 ; 정영목 옮김 / 민음사
기생, 조선을 사로잡다 : 일제 강점기 연예인이 된 기생 이야기 기생, 조선을 사로잡다 : 일제 강점기 연예인이 된 기생 이야기 2010 / 신현규 지음 / 어문학사
(우리의 눈으로 본)일본제국 흥망사 (우리의 눈으로 본)일본제국 흥망사 2005 / 이창위 지음 / 궁리
영어 약장수 영어 약장수 2001 / 문성업 저 / 오상
개국  : 조선의 설계자들, 그 최후의 승자  : 조현경 역사소설 개국 : 조선의 설계자들, 그 최후의 승자 : 조현경 역사소설 2013 / 조현경 지음 / 학고재
점령과 개혁 점령과 개혁 2012 / 아메미야 쇼이치 지음 ; 유지아 옮김 / 어문학사
지리산 편지 : 이원규 산문집 지리산 편지 : 이원규 산문집 2008 / 이원규 / 대교북스캔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2014 / 박훈 지음 / 민음사
처음 읽는 일본사 처음 읽는 일본사 2018 / 지음: 전국역사교사모임 / 휴머니스트
일본사 여행 : 역사기행으로 읽는 일본사 일본사 여행 : 역사기행으로 읽는 일본사 2014 / 하종문 지음 / 역사비평사
총력전하의 앎과 제도 : 1935~1955년 1 총력전하의 앎과 제도 : 1935~1955년 1 2014 / 사카이 나오키 외 지음 ; 이종호 [외]옮김 / 소명출판
사전, 시대를 엮다 : 사전으로 보는 일본의 지식문화사 사전, 시대를 엮다 : 사전으로 보는 일본의 지식문화사 2014 / 오스미 가오 지음 ; 임경택 옮김 / 사계절
만들어진 신의 나라 : 천황제와 침략 전쟁의 심상지리 만들어진 신의 나라 : 천황제와 침략 전쟁의 심상지리 2014 / 정창석 지음 / 이학사
쇼군 천황 국민 : 에도시대부터 현재까지 일본의 역사 , 에도시대부터 현재까지 일본의 역사 쇼군 천황 국민 : 에도시대부터 현재까지 일본의 역사 , 에도시대부터 현재까지 일본의 역사 2012 / 후지이 조지 외 지음 ; 박진한; 이계황; 박수철 옮김 / 서해문집
그럼에도 일본은 전쟁을 선택했다 : 청일전쟁부터 태평양전쟁까지 그럼에도 일본은 전쟁을 선택했다 : 청일전쟁부터 태평양전쟁까지 2018 / 지음: 가토 요코 ; 옮김: 윤현명, 이승혁 / 서해문집
(「일본의 양심」이 보는)현대 일본의 역사인식 (「일본의 양심」이 보는)현대 일본의 역사인식 2014 / 나카츠카 아키라 지음 ; 박맹수 옮김 / 모시는사람들
천황 : 일본의 살아 있는 신화, 천황과 천황제의 고찰 천황 : 일본의 살아 있는 신화, 천황과 천황제의 고찰 2019 / 지음: 김용관 / 북랩
국화와 칼: 일본 문화의 틀 국화와 칼: 일본 문화의 틀 2019 / 지음: 루스 베네딕트, 옮김: 김윤식, 오인석 [공] / 을유문화사
냉전 체제와 자본의 문화  = (A) cold war regime and capitalist culture 냉전 체제와 자본의 문화 = (A) cold war regime and capitalist culture 2013 / 요시미 슌야 외 지음 ; 허보윤 ; 김연숙 ; 전미경 ; 한윤아 ; 이현희 ; 강현정 ; 남효진 옮김 / 소명출판
사카모토 료마와 메이지 유신 사카모토 료마와 메이지 유신 2014 / 마리우스 B. 잰슨 지음 ; 손일 ; 이동민 옮김 / 푸른길
대본영의 참모들  : 일본 군국주의의 광기 대본영의 참모들 : 일본 군국주의의 광기 2014 / 위톈런 지음 ; 박윤식 옮김 / 나남
우키요에 속의 조선과 중국  : 다색판화에 투영된 근대 일본의 시선 우키요에 속의 조선과 중국 : 다색판화에 투영된 근대 일본의 시선 2010 / 강덕상 편저 ; 김광열 ; 박순애 번역 / 일조각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1
30대0
40대0
50대2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1
2020년0
2021년1
2022년1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