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출인기
대일본제국 붕괴 : 1945년 일본의 패망과 동아시아
발행연도 - 2010 / 가토 기요후미 지음 ; 안소영 옮김 / 바오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40112
-
ISBN
9788991428089
-
형태
319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아시아
>
일본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동양사
>
동양사 일반
책소개
패전국 일본과 해방을 맞은 식민지 제국에게 8월 15일은 과연 어떤 의미이며, 어떤 역사적 유산을 남겼을까? 이 책은 일본 패망 전후의 국제관계와 세력판도, 연합국 내부의 협력과 갈등, 패전을 맞은 일본과 해방을 맞는 각 식민지의 모습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종전사의 입문서 역할을 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제1장 포츠담선언-트루먼의 독선과 소련의 준동
트루먼의 '세계구상'
동요하는 포츠담선언
트루먼의 독선과 소련 경시
중국의 '이중 굴욕'
스탈린의 대일 참전계획
일본에 대한 소련의 태도
제2장 도쿄-‘제국’ 해체의 길
가동되지 못한 외교 루트
짙어진 패색
소련의 대폭양보 제안
외무성의 인식
화평공작의 목적
애매한 대응의 귀결
소련의 대일 선전포고
소련참전의 충격
8월 9일 회의-분열된 내각
첫 번째 성단-포츠담선언 수락
연합국의 대응과 의도
'번즈 회답안'을 둘러싼 대립
스즈키 간타로의 고독한 싸움
황족·왕공족의 참집參集
8월 13일 각의-수락인가 재조회인가
종전을 위한 '성단'
운명의 8월 15일
'제도'에 집착한 천왕
'정당한 절차'에 대한 집요한 추구
왜 '성단'이 필요했을까
워싱턴에서 발표된 일본의 항복 소식
'민간인 포기' 지시
대일본제국의 자기부정
제3장 경성-꿈의 ‘해방’
소련의 조선 침공
조선인 지도자에 대한 권한이양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결성
조석총독부의 기능부전
일본인 조직의 결성
조선군의 막강한 군비
평온한 패전 후의 10일간
조선인단체의 난립과 군의 개입
'건준'을 단념한 총독부
미군의 진주-일본의 조선지배 증언
'그저 쓴웃음을 지을 뿐'
조선공산당의 등장과 총독의 귀환
민간인 귀환
조선독립에 대한 영·미의 저평가
30분 만에 결정된 '38도선'
소련군의 진주와 일본군의 무장해제
민족계와 공산계의 균형
김일성의 등장
'주어진 독립'의 고충
미국이 선택한 이승만
암살·숙청·행방불명
'9월 9일'의 굴욕
제4장 타이베이-‘항복’과 ‘광복’ 사이
군사기지화-타이완 총독과 군사령관의 일체화
오키나와 함락 후 총독부의 대응
옥음방송
타이완 유력인사의 움직임
타이완 주민의 정치운동
안도 총독과 린시엔탕의 회견
일본인의 특이한 패전의식
국민정부의 타이완 접수
국부군의 타이완 진주
장제스의 타이완 접수
독자적인 민족과 역사
무조건 항복
중국의 접수와 경제악화
일본인에 대한 차가운 시선
미국의 정책전환에 따른 조기 해산·철수
유용留用과 '류교琉僑'
총독의 자결
2·28사건
“개가 물러가니 돼지가 왔다.”
제5장 충칭重慶, 신징新京-‘연합국’ 중국의 고뇌
장제스의 굴욕
알타밀약
몽골 독립문제
장제스에 대한 무배려
소련의 대일참전과 중소교섭
지구전으로 전환한 관동군
재만 일본인의 비극
소련침공과 관동군의 이완
만주국 정부의 대응
거류민 피난과 관동군의 저항
푸이의 도피와 천도
푸이가 들은 옥음방송
만주국 해산
소련군에 붙잡힌 황제
무방비도시 선언 거부
소련군과의 교섭
일제 연행
소련군의 악행
관동군의 소멸
관동군 지배의 대가
만철의 소멸
민간인 주도의 일본인 조직
관동주
미소교섭에 의한 귀환
중공군의 진격
이덕보원以德報怨의 의미
끝나지 않은 '설욕'
지나파견군의 항복
국공 대립과 소련군의 철수
만주국 멸망, 사라진 역사
제6장 남양군도, 사할린-잊혀진 ‘제국’
남양군도-위임통치에서 일본령으로
사이판 함락
오키나와 점령정책의 원형
남양청의 붕괴
섬마다 이루어진 항복문서 조인
'제국신민' 의식
희미해지는 남양군도의 기억
식민지·사할린
치시마 열도의 방비
대미전 중시 방위
소련군의 사할린 침공
옥음방송 후에도 계속된 전투
소련의 북치시마 상륙
훗카이도 점령 요구
도요하라 공습
소련령 편입
소련 점령 하의 생활
소수민족의 귀환
남겨진 민족
제7장 ‘제국’ 붕괴와 동아시아
항복문서의 조인
'대동아공동선언'의 모순
'황민화'의 논리
중국과 몽골의 대일협력자들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
필리핀·인도네시아·인도
타이
8월 15일과 새로운 역사상
후기
옮긴이 후기
참고자료
참고문헌
관련연표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0 |
40대 | 0 |
50대 | 2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1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