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근대 한일관계의 역사적 근원을 이루는 주일공사의 파견과 활동에 초점을 맞춰 새로운 시각에서 한일관계사를 재조명한다. 주일 조선공사관이 개설(1887)된 후 폐쇄될 때까지 그 핵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주일공사의 파견 배경과 목적 및 경위, 외교 활동, 그 한계 등을 고찰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서설
제1부 주일공사의 파견 배경 및 과정
01장 주일공사의 파견 배경
1- 조일수호조규의 체결과 ‘파사주경’ 논의
2- 이헌영의 임명과 이원긍의 파일
02장 민영준의 임면과정
03장 김가진의 임면과정
04장 김사철의 임면과정
05장 고영희의 임면과정
06장 이하영의 임면과정
1- 제1차 임면 배경 및 경위(1896.3~1898.11)
2- 제2차 임면 배경 및 미부임(1899. 5~7)
3- 제3차 임면 배경 및 귀국 경위(1900. 4~1900. 8)
07장 조병식의 임면과정
08장 성기운의 임면과정
09장 고영희의 임면과정
1- 이용태ㆍ김승규의 미부임 경위와 일본 측의 항의
2- 고영희의 임면 배경 및 경위
10장 조민희의 임면과정
제2부 주일공사의 활동
01장 공사관 개설 초기(1887~1894)
1- 조ㆍ일 양국 간의 현안 처리
2- 근대적 제도와 문물 수용
3- 조오조약의 체결
4- 외교사절단의 접대 및 업무 지원
5- 조선관련 정보 수집
02장 갑오개혁기(1894~1896)
1- 재일유학생 보호ㆍ관리
2- 근대식 기계와 서적 구입
3- 외교사절단의 접대 및 업무 지원
4- 조선 관련 정보 수집
03장 아관파천ㆍ대한제국 전기(1896~1900)
1- 정치ㆍ경제적 현안 처리
2- 재일유학생 관리ㆍ감독
3- 근대식 기계 구입과 기술 습득 알선
4- 일본인의 불법행위 처벌 및 단속
5- 표류민 및 불법체류자 송환
6- 한비수호통상조약의 체결 중재
04장 대한제국 후기(1900~1905)
1- 정치ㆍ외교적 현안 처리
2- 재일유학생 관리ㆍ감독
3- 근대식 기계 구입과 기술 습득 알선
4- 곤란민 및 불법체류자 송환
제3부 주일공사의 의의와 그 한계
01장 주일공사의 구성과 그 성격
02장 주일공사관의 파행적 운영과 그 한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