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 한국의 미디어 정책
  • 한국의 미디어 정책

    발행연도 - 2010 / 이상복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38056
    • ISBN 9788964060902
    • 형태 213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총류 > 신문, 저널리즘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최장수 미디어 전문기자가 쓴 미디어 정책론이다. 미디어 정책 현장을 지킨 경험을 살려 현실과 이론을 접목한 제대로 된 정책 가이드를 내놓았다. 다공영과 다민영, 디지털 방송, 시장 집중과 독과점, 수신료 인상, 망 중립성, 통신재판매 등 방송·통신·신문을 아우르는 현안들을 다룬다. 공영성을 높이고 산업성도 구현할 최선의 방법을 얻을 것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서론

1 미디어 빅뱅과 패러다임 시프트
기존 질서 허무는 디지털 세상
미디어 정책 빅뱅이 시작되다
미디어 문화와 산업의 이중주
세계는 미디어 정책 개혁 중
기술은 디지털, 법과 제도는 아날로그

2 미디어 정책 어떻게 결정되나?
미디어 컨트롤타워 방송통신위원회
법제화의 길목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보이지 않는 정책 조율사 청와대
콘텐츠 진흥의 메카 문화체육관광부
미디어법의 다크호스 미디어다양성위원회
내용 규제의 보루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논리와 여론의 산실 싱크탱크 기관과 학회들
목소리 큰 이해관계 집단과 시민단체
이명박 정부 미디어 정책의 핵심 인물들

3 정책보다 정치… 한국의 미디어 정책이 걸어온 길
한국 미디어 정책 결정 과정의 특징
정권의 폭압적 개입… 언론 통폐합과 지상파 독과점
4년 돌아 제자리, 디지털 전송 방식 논란
'허무 개그' 보여준 탄핵 방송 심의
로드맵도 없이 정책 미루기
표적 입법 논란 신문법 제정
누더기 된 방송법 개정

4 디저털 시대 미디어 이슈
미디어 다양성
보도의 공정성
종합편성 채널 선정
보편적 서비스와 중계권 논란
경쟁과 공익성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
방송의 재송신
방송 광고 규체 완화
디지털 저작권 보호의 철학
방송의 디지털 전환
신문 산업 지원
방송통신 통합법 제정
수신료 인상
방송의 소유, 진입 규제 완화
지상파 다채널 방송
글로벌 미디어 그룹 육성
지역주의 구현
방송통신 경쟁 상황 평가
망 중립성
통신 재판매

5 미디어 정책의 글로벌 스탠더드
세계 방송통신 정책 환경
자의적 외국 사례 인용
세계 글로벌 미디어 기업의 등장과 육성
공익과 산업의 조화: 프랑스의 미디어 개혁
세계의 미디어 다양성 정책
디지털로 가는 선진국 미디어 정책

6 디지털 시대, 미디어 정책의 방향은?
미디어 정책의 '수정 헌법 1조'가 필요하다
그랜드 로드맵을 제시하라
미디어다양성위원회의 결론을 모두가 존중하자
인사가 만사다
종합편성 채널 사업자 선정이 현 정부의 운명을 가른다
학자들의 변신을 위하여
미디어 대타협이 필요하다
공익과 산업의 이분법부터 버리자
글로벌 미디어, 지레 포기하지 말자
타협이나 절충 대신 깨지지 않을 룰을 만들자
원칙은 일관성 있게 적용돼야 한다
이해집단에 휘둘리지 말자
외국 사례 논란은 이제 종지부를 찍자
정책의 투명성이 생명이다
정책, 미루는 게 능사는 아니다
사전 규제에서 사후 규제로
정책에서 소외된 수용자 권리를 되찾자
정확한 데이터 파악이 기본이다
'전문 정책가' 그룹을 키우자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방일영문화재단)한국언론학술논총. 2005 (방일영문화재단)한국언론학술논총. 2005 2005 / 방일영문화재단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미디어교육론 미디어교육론 2004 / 이정춘 저 / 집문당
융합과 통섭  : 다중매체 환경에서의 언론학 연구방법 융합과 통섭 : 다중매체 환경에서의 언론학 연구방법 2013 / 한국언론학회 엮음 / 나남
융합과 통섭  : 다중매체 환경에서의 언론학 연구방법 융합과 통섭 : 다중매체 환경에서의 언론학 연구방법 2013 / 한국언론학회 엮음 / 나남
역사와 언론 역사와 언론 2007 / 이상철 지음 / 일지사
세계언론사 세계언론사 1996 / 채백 편역 / 한나래
뉴스의 탄생 뉴스의 탄생 2022 / 지음: 앤드루 페티그리; 옮김: 박선진 / 태학사
한국의 미디어 정책 한국의 미디어 정책 2010 / 이상복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한국영어신문사 한국영어신문사 2003 / 홍순일 ; 정진석 ; 박창석 [공]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대한민국 성찰의 기록 : 김진현 회고 대한민국 성찰의 기록 : 김진현 회고 2022 / 지음: 김진현 / 나남출판(나남출판사)
루퍼트 머독  : 미디어로 세계를 선동한 권력욕의 화신 루퍼트 머독 : 미디어로 세계를 선동한 권력욕의 화신 2015 / 지음: 데이비드 맥나이트 ; 옮김: 안성용 / 글항아리
퓰리처 퓰리처 2002 / 데니스 브라이언 저 ; 김승욱 역 / 작가정신
퓰리처 퓰리처 2002 / 데니스 브라이언 저 ; 김승욱 역 / 작가정신
나는 역사의 길을 걷고 싶다  : 참언론인 송건호의 생각과 실천 나는 역사의 길을 걷고 싶다 : 참언론인 송건호의 생각과 실천 2008 / 정지아 지음 / 한길사
나는 역사의 길을 걷고 싶다  : 참언론인 송건호의 생각과 실천 나는 역사의 길을 걷고 싶다 : 참언론인 송건호의 생각과 실천 2008 / 정지아 지음 / 한길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뉴스를 말하다 : 뉴스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에 대하여 뉴스를 말하다 : 뉴스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에 대하여 2016 / 김성준 지음 / 청림
저널리즘의 미래  = The future of journalism  : 자기복제와 포털 중독 언론에 미래는 있는가 저널리즘의 미래 = The future of journalism : 자기복제와 포털 중독 언론에 미래는 있는가 2015 / 지은이: 이정환, 김유리, 정철운, 조수경, 강성원, 김도연, 금준경 / 인물과사상사
진실, 그것을 믿었다 : 황우석 사태 파일 진실, 그것을 믿었다 : 황우석 사태 파일 2014 / 지음: 한학수 / 사회평론
한미일 신문 지면 비교 : 뉴욕타임스, 요미우리신문,조선일보를 중심으로 한미일 신문 지면 비교 : 뉴욕타임스, 요미우리신문,조선일보를 중심으로 2004 / 신명선 [외]지음 / 미디어연구소
오가닉 미디어 오가닉 미디어 2014 / 윤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뉴스가 말하지 않는 것들  : 세상의 진실을 읽는 진짜 뉴스의 힘 뉴스가 말하지 않는 것들 : 세상의 진실을 읽는 진짜 뉴스의 힘 2016 / 지음:이정환 ; 정철운 ; 금준경 ; 차현아 ; 정상근 ; 이하늬 ; 강성원 ; 김도연 / 인물과사상사
뉴스가 위로가 되는 이상한 시대입니다 뉴스가 위로가 되는 이상한 시대입니다 2017 / 지음: 임경빈 / 부키
가짜뉴스의 고고학 : 로마 시대부터 소셜미디어 시대까지, 허위정보는 어떻게 여론을 흔들었나 가짜뉴스의 고고학 : 로마 시대부터 소셜미디어 시대까지, 허위정보는 어떻게 여론을 흔들었나 2020 / 지음: 최은창 / 동아시아
대한민국 프레임 전쟁 : 뉴스로 뉴스를 덮는 언론을 말하다 대한민국 프레임 전쟁 : 뉴스로 뉴스를 덮는 언론을 말하다 2017 / 지음: 미디어오늘 / 동녘
세상은 바꾸고 역사는 기록하라 세상은 바꾸고 역사는 기록하라 2013 / 신동식 외 지음 ; 최원석 엮음 / 푸르메
(다시 보는) 야만의 언론 : 대통령 노무현과 조폭언론 5년의 기록 (다시 보는) 야만의 언론 : 대통령 노무현과 조폭언론 5년의 기록 2014 / 김성재 ; 김상철 [공]저 / 책보세
팩트체크 = Factcheck : 세상을 바로 읽는 진실의 힘 팩트체크 = Factcheck : 세상을 바로 읽는 진실의 힘 2015 / JTBC 뉴스룸 팩트체크 제작팀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한국 언론의 품격 한국 언론의 품격 2013 / 박재영 외 지음 / 나남
특종의 탄생 : 조수진 기자의 인사이드 특종의 탄생 : 조수진 기자의 인사이드 2018 / 지음: 조수진 / 나남
혁신 저널리즘 혁신 저널리즘 2015 / 강정수, 이성규, 최진순 [공]저 / 박문각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