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근세 문헌 연구자인 김시덕 교수의 첫 연구서로, 지난 2011년 일본에서 출간했던 <이국 정벌 전기의 세계>를 한국어로 옮긴 것이다. 김 교수는 이 책으로 일본 국문학연구자료관 찬조회가 40세 미만 일본 고전 문학 연구자들에게 수여하는 일본 고전 문학 학술상을 외국인으로는 최초로 수상해 화제가 된 바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일본어판 서문 삽화 목록
서론 - 정벌: 동부 유라시아의〈정당한 전쟁〉론
제1부 임진왜란은 에도 시대 2백여 년간 어떻게 형상화되었는가 제1장 임진왜란 문헌군의 연구 제1절 초기 문헌과 『다이코기』 제2절 첫 번째 충격 ─ 중국 문헌 제3절 두 번째 충격 ─ 한국 문헌 제4절 가토 기요마사 문헌군 제5절 18세기의 임진왜란 문헌군 ─ 후쿠오카 번과 쓰시마 번 제6절 고단, 에혼이 된 임진왜란 문헌군 제7절 요미혼이 된 임진왜란 문헌군 제8절 19세기의 임진왜란 문헌군 ─ 쓰시마 번과 미토 번
제2부 이국 정벌 전기의 전체 상 제2장 유구 정벌 담론과 임진왜란 문헌군 제1절 임진왜란 문헌군 속의 유구 제2절 『진세쓰 유미하리즈키』와 이국 정벌 전쟁 제3절 시마즈 가문의 유구 침략과 임진왜란 제3장 진구코고 전승 및 백제 구원 전쟁 담론과 임진왜란 문헌군 제4장 요시쓰네 에조 도해설과 임진왜란 문헌군 제1절 에조 전쟁 문헌군의 전개와 정벌 논리 제2절 『요시쓰네 훈공기』와 『조선태평기』 ─ 바바 노부노리의 경우 제3절 『통속 요시쓰네 에조 군담』과 『조선 연대기』 ─ 도에이쇼의 경우 제4절 『요시쓰네 에조 훈공기』와 『에혼 조선 정벌기』 ─ 우타가와 사다히데와 쓰루미네 시게노부의 경우
결론 - 근세 일본 이국 정벌 전기의 정벌 논리
일본어판 발문 이 책에서 언급되는 주요 문헌 주 연표
서가브라우징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 대한민국이 선택한 역사 이야기2016 / 지은이: 설민석 / 세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