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똑같이 배워도, 똑같이 일해도 더 적은 임금을 받는 현실, 결혼.임신.출산으로 퇴사를 걱정해야 하는 현실, 맞벌이부부여도 가사노동은 여성의 몫으로 남아있는 현실. 이러한 현실에서 여성, 환경, 영성의 관점에서 한국적 복지국가의 미래상을 그린다.
목차
여성주의적 사회복지를 위한 시론
PART 1. 여성주의적 현실 인식: 여성학 방법론
chapter 1. 보편적 복지로서 여성복지를 위한 방법론적 접근
사회복지 내에서 여성복지의 주변성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chapter 2. 이중사회화 과정을 통해 본 한국 여성해방전략의 제한성과 부적절성
chapter 3. 노인복지에 대한 가족사회학적 접근
노인부양 문제를 통해 본 노인복지와 여성복지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고찰
chapter 4. 가족복지의 근대성과 전근대성
한국 가족복지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과제
PART 2. 여성주의적 현실 분석: 여성 노동·정책
chapter 5. 직장과 가정의 긴장관계에 선 여성노동
chapter 6. 고용평등지표를 통해 본 양성평등의 현주소
chapter 7. 고령화시대 노인부양부담과 여성의 경제활동
chapter 8. 고학력 여성의 일과 경력
chapter 9. 돌봄 서비스 개선을 위한 비영리 조직화 가능성
chapter 10. 이주와 여성노동
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통해 본 한국 노동시장의 성별, 민족별 분절화 현상을 중심으로
PART 3. 대안적 사회학: 여성ㆍ환경ㆍ영성
chapter 11. ‘노동사회’를 넘어 ‘좋은 노동 사회’를 위하여
일ㆍ가족양립 정책과 모성보호 정책
chapter 12. 경쟁적 노동사회의 소비적 여가의 인간화
유럽의 ‘좋은 노동’ 논의의 한국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chapter 13. 생태, 왜 시대의 화두인가
chapter 14. 여가로서 수행의 의미
‘노동사회’의 소비적 여가를 넘어 수행문화의 복지사회를 위한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