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2년차 공익마케터 오승훈이 제안하는 동네 사람 중심의 작은경제론1명이 100억을 버는 구조에서 100명이 1억씩 버는 경제구조로의 전환, 그 가능성을 제시하다!벌어도 벌어도 돈은 부족하게만 느껴지고 정부 정책과 정치인에 따라 경제가 좌우되는 것만 같다. GDP가 높다고 우리가 당장 잘사는 것도 아니고, 국가 부채 때문에 굶어 죽는 것도 아닌데 우리는 나라 경제부터 걱정한다. 사실 먹고사는 일보다 중요한 일이 뭐가 있을까? 2조가 넘는 강남의 백화점 매출, 시중은행의 600조 예금액만이 경제지표가 아니다. 집안 살림을 이끄는 우리의 작은경제가 국가와 산업 중심의 경제를 이길 수밖에 없는 이유는 경제의 본질이 우리가 먹고사는 일에 있기 때문이다. 이 책 《슬리퍼 신은 경제학》은 ‘그렇다면 우리 힘으로 경제를 바꿀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22년차 공익마케터 오승훈의 답이다. 동네로 찾아온 공익마케팅의 힘지난 22년간, 마케터로서는 흔치 않게 민간기업, 비영리, 공공 분야 마케팅을 모두 경험한 저자는 결국 경제의 기본단위는 우리가 사는 동네임을 깨달았다. 시민은 우리가 경제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지 못했을 뿐이었으며, 모든 것은 우리의 선택에 달린 일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슬리퍼 신고 걸어서 갈 수 있는 생활상권이 우리가 사는(buying) 곳이자 사는(living) 곳이다. 대한민국 5,000만 인구 중 동네에 살지 않는 사람은 없다. 사는 재미가 있고 동네가 행복해야 시민이 행복해지는 이유다. 사는 재미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대기업과 산업 중심의 경제가 1명이 100억을 버는 구조였다면, 이제 100명이 1억씩 버는 시민 한 명 한 명이 중심이 되는 경제로 전환하자는 것이 바로 동네 중심, 사람 중심인 작은경제론의 핵심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상인, 소비자, 공공의 목소리를 모두 담아낸 책의 결과물을 보고 최이명 도시계획학 박사는 추천의 글에서 저자의 작업량과 디테일에 감탄했다는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사람들이 왜 동네를 떠나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짚어보고, 2부에서는 공공의 경제정책이 우리의 삶과 괴리되는 이유를 정리했다. 3부에서는 작은경제가 바라는 경제구조와 저자를 비롯해 우리 모두가 살고 싶은 동네를 그렸고, 4부는 시민과 소비자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과 공공과 상인에게 바라는 일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