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이 책을 발간하면서
Ⅰ.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연구 목적
4. 『마의상법』의 저자 진단
1) 진단의 세계관
2) 『마의상법』
Ⅱ. 고대 중국의 천인관계론
1. 고대 중국의 천문관
1) 점성관
2) 천문관
2. 고대 중국의 천인관
1) 천인관
2) 천도관
3. 고대의 천인관계론
1) 천인감응관
2) 천인합일관
Ⅲ. 고대의 기론과 『마의상법』의 기론
1. 『회남자』와 『춘추번로』의 기론
1) 「회남자」의 기
2) 『춘추번로』의 천인합일
2. 『황제내경』과 『논형』의 기론
1) 『황제내경』의 인체우주론
2) 『논형』의 원기론
3. 『마의상법』의 기론
1) 『마의상법』의 형
2) 『마의상법』의 기
3) 『마의상법』의 신
Ⅳ. 『마의상법』에 인용된 고대의 천인관
1. 『주역』과 『마의상법』의 천인론
1) 『주역』의 천지인삼재론
2) 『마의상법』의 삼정론
2. 고대 중국의 제천의식과 『마의상법』의 제천관
1) 고대 중국의 제천관
2) 『마의상법』의 제천관
3. 고대 중국의 우주관과 『마의상법』 비교
1) 고대 중국의 분야설
2) 『마의상법』의 우주관
Ⅴ. 『마의상법』에 나타난 천인관의 배경
1. 『마의상법』의 음양관
1) 음양으로서의 일월
2) 음양으로서의 오악사독
3) 음양으로서의 천지
2. 『마의상법』의 오행관
1) 오관
2) 오성
3) 오악
3. 『마의상법』의 구궁팔괘설
1) 「하도」, 「낙서」
2) 고대 명당제도
3) 명당제도와 구궁팔괘설
(1) 명당제도와 『마의상법』
(2) 『마의상법』의 구궁팔괘설
Ⅵ. 『마의상법』의 천인관계와 인성론
1. 『마의상법』의 천인관계를 통한 인성 회복
1) 고대 중국 천인관의 수용과 비판
2) 『마의상법』 천인관과 인성 회복
2. 수기치인의 문제 제기
1) 수기치인의 문제
2) 인성 회복의 실천적 자세
3. 상법의 역할론과 심성론
1) 심성의 문제
2) 상법의 역할론
Ⅶ.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