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우리나라 새남굿의 전국적 사례와 의의 연구
1. 서울지역의 새남굿
2. 함경도의 새남굿
3. 경기도 남부의 새남굿
4. 남해안의 오귀새남굿
Ⅱ. 경기도 남부 산이제 굿의 특징과 의미 연구
1. 경기도 남부 산이제 연구 시각의 전환
2. 인천시 육목동 경기산이제 새남굿의 전반적 특징
3. 인천시 율목동 경기산이제 새남굿의 세부적 고찰
4. 경기도 남부 산이제 굿과 서울굿의 비교
Ⅲ. 경기도 남부 산이제 새남굿의 <죽엄의 말> 연구
1. 머리말
2. 경기도 남부 산이제 새남굿 <죽엄의 말> 각편
3. <죽엄의 말> 사설의 특징과 의미
4. 경기도 새남굿의 구조와 <죽엄의 말>
5. <죽엄의 말> 연행방식의 특징
6. 마무리
Ⅳ. 경기남부 산이제 새남 마달 <죽엄의 말>의 특징과 의의
1. 머리말
2. 산이의 새남 마달 <죽엄의 말>
3. <죽엄의 말>의 구성과 내용, 그리고 특징
4. 마무리
Ⅴ. 경기 산이제 『죽엄의 말』 『티벳 사자의 서』 『이집트 사저의 서』의 비교
1. 세 가지 텍스트의 비교 방향과 준거
2. 『이집트 사자의 서』
3. 『티벳 사자의 서』
4. 경기도 산이제 『죽엄의 말』
5. 세 가지 텍스트의 죽음관 비교
부록 : <죽엄의 말> 세 편
1. 경기도 시흥 하영운 <죽엄의 말>
2. 이종하 필사 이용우 소장 <죽엄의 말>
3. 새남굿에서 넋을 맞이하여 드리는 법의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