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아' 트라우마 : 식민지/제국의 경계와 탈경계의 경험들
발행연도 - 2013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 유선영, 차승기 엮음 / 그린비
-
도서관
인천시청 행정자료실도서관
-
자료실
[인천시청행정자료실]일반자료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IM0000017430
-
ISBN
9788976827739
-
형태
239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아시아
>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한국사
>
개화기/일제시대
책소개
20세기 전반기, 제국 일본을 매개로 혹은 그것을 우회하여 초국적 이동을 생존과 실존의 문제로 선택하게 된 피식민지인 이주자들에게, 일본이 내세운 ‘대동아주의’(大東亞主義)는 제국의 ‘아시아’를 트라우마로 경험하게 했다.
목차
머리말_ ‘동아’ 트라우마: 식민지/제국의 경계와 탈경계의 경험들
서론_ 20세기 전반기, 초국적 이동의 예외로서 식민지민의 이동: 트랜스내셔널 디아스포라와는 다른 식민지민의 예외성 / 유선영
1부 _ 동아 민족들의 지정학적 배치와 적대의 장치
1장 _ ‘동아’ 트라우마, 제국의 지정학적 공간과 ‘이등신민’의 정치학 / 유선영
2장 _ ‘척식’이라는 비즈니스: 식민지 국가기업으로서의 척식회사 / 조정우
2부 _ 식민지/제국의 역내 이동과 ‘내지’의 구멍들
3장 _ 내지의 외지, 식민본국의 피식민지인, 또는 구멍의 (비)존재론 / 차승기
4장 _ 지방주의의 역사-지정학: 식민지 시기 내지 이주 조선인들의 지방주의적 갈등 / 차승기
3부 _ 아시아 민족들의 혼거와 긴장, 식민지라는 장소
5장 _ 제국의 경계를 재구성하는 관점에서 바라본 식민지 조선의 중국인 이주 노동자 문제 / 마이클 김
6장 _ 나카지마 아쓰시의 조선소설: 식민지 도시공간 ‘경성’을 중심으로 / 이헬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