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인의 시원적 문화의지를 읽을 수 있는 한국 고대의 국가 기원 신화로부터 우리 전통무속, 한국불교, 한국유학에 이르기까지, 그 속에 나타난 한국인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더 나아가 우리 선각들이 그 마음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치열하게 묻고 고민한 흔적들을 담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한국사상과 윤리 그리고 한국인의 마음
1. 한국인은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
2. 한국에서 윤리는 무엇인가?
3. 한국인에게 마음은 무엇인가?
4. 한국사상에서 마음의 윤리학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제2장 단군신화의 박애搏愛의 마음과 도덕적 복지의 윤리
1. 단군신화를 통해 한국인의 마음을 보는 근거
2. 『삼국유사』의 단군신화 내용과 그 사회적 의미
3. 도의(道義)와 조화(調和)의 윤리
4. 평화(平和)의 윤리와 갈등의 승화 양상
5. 박애(博愛)의 마음과 도덕적 복지
6. 단군신화의 마음과 현대 한국인의 삶
7. 단군신화의 마음: 한국인의 원형적 마음
제3장 한국무속의 한恨과 화해和解의 마음
1. 한(恨)과 성무(成巫) 과정
2. 굿과 화해(和解)의 마음
3. 한과 신령 그리고 한국인의 마음
4. 가정(家庭)의 신령과 행복 추구의 마음
5. 무속과 현대 한국인의 삶의 과제
6. 한국무속의 마음: 소의 극복의 마음
제4장 원효의 일심론一心論과 대중사랑의 윤리
1. 일심(一心)의 특성과 윤리적 의미
2. 화쟁(和諍)의 논리와 윤리적 의미
3. 마음 수양법의 특성
4. 대중사랑의 실천윤리
5. 원효의 심론: 실천적 사랑의 마음
제5장 지눌의 진심론眞心論과 수심修心의 윤리
1. 진심(嗔心)의 특성과 윤리적 의미
2. 무심법(無心法)과 진심
3. 수심(修心)윤리의 근거로서의 심즉불(心卽佛)
4.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수심의 윤리
5. 정혜쌍수(定慧雙修)와 수심의 윤리
6. 지눌의 심론: 자기 성찰의 마음
제6장 퇴계의 주리적主理的 심론과 경敬의 윤리
1. 이(理)중시적 입장과 이발(理發)
2.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의주요 논점과 윤리적 의미
3. 주리적(主理的) 마음과 선악(善惡)
4. 도덕교육의 목표로서의 성인(聖人)
5. 거경(居敬)의 특성과 방법
6. 존심(存心)의 궁리(窮理)의 수양
7. 역행(力行)과 지행법진(知行竝進)
8. 퇴계의 심론: 천리(天理) 구현의 마음
제7장 율곡의 도학적道學的 심론과 무실務實의 윤리
1. 도학적(道學的) 사유와 정신
2. 이기론(異氣論)의 논점과 윤리적 사유의 토대
3. 마음에서 성(性)과 정(情)의 특성
4. 인심도심종시(人心道心終始)와 도학의 심론
5. 도학의 목적으로서의 성인(聖人)
6. 성인(聖人)이 되기 위한 공부 방법
7. 사생(死生)의 문제의식과 도학적 윤리정신
8. 무실(務實)의 윤리의식과 실천정신
9.. 율곡의 심론: 수기안인(修己安人)의 도학적 마음
제8장 다산의 자율적自律的 심론과 행사적行事的 실천윤리
1. 마음과 기호(嗜好)로서의 성
2. 마음의 자율성(自律性)과 도덕적 책임성
3. 성선(性善)의 특성과 논증문제
4. 인물(人物)의 성(性)과 인간의 윤리적 특성
5. 상제(上帝)와 도심(道心)
6. 마음 수양의 방법과 행사적(行事的)실천윤리
7. 인(仁)과도덕 실천
8. 다산의 심론: 자율과 주체의 마음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