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광운학원의 새로운 출발을 위하여 / 김기영[화도기념사업회 이사장]
축사 설립자 일대기 출판에 부쳐 / 조선영[학교법인 광운학원 이사장]
머리글: 기록과 역사로서의 한 사학 설립자의 일대기
한 사학 설립자의 일대기
자신을 비춰보는 거울로서의 기록과 역사
회고록이 전하는 이야기
비망록의 수수께끼
현해탄을 오고간 편지
한국 근대 대학 제3의 발자취
창학 정신과 교육 이념의 소환
길을 묻는 젊은이에게
제1장 개항장 소년
출생
어머니 품속 같은 고향
세계를 만난 갯마을 사람들
쌍우물의 전설
신화수리 123번지
일본의 식민 기지로 변해가는 개항장
제2장 일제 강점기 인천의 초등교육 지형
쌍우물서당
개항장 인천의 근대 교육 지형
기독교 계통 학교의 조선인 교육
영화학당의 설립
광운의 인천공립보통학교 입학
제3장 주경야독의 나날
15세 소년의 결단
일본인 잡화상의 점원 생활
일본인 법률사무소의 쓰라린 기억
청년 사업가의 길
미두거래소에서 날려버린 꿈
제4장 방랑의 시작과 끝
요원의 불꽃으로 타오른 3·1운동
방랑의 시작
인천에서 신의주까지 1,300리 길
국경의 도시 신의주
신의주에서 창춘까지 1,400리 길
험난한 사촌 매부와의 만남
만주의 호랑이 김동삼·김동만 형제
창춘에서 상하이까지 5,800리 길
상하이의 데자뷔
제5장 일본에서 보낸 한 철
짜이찌엔 상하이, 곤니치와 도쿄
짧았던 와세다대학 유학 생활
항일 독립운동
오사카 기타하마의 경험
마츠시타 고노스케와의 만남
항상 함께 걷는 ‘동행이인’
신사이바시의 각오
제6장 조선무선강습소와 조선무선공학원 ─ 한국 근대대학의 기원 제3의 길
관부연락선 뱃전의 맹세
광운상회의 개업
대전에서 무단장까지
무선통신의 시대
라디오의 대중화
조선무선강습소의 설립
전시 동원 체제와 조선무선공학원
제7장 해방 이후의 교육 활동과 학교 건립
광복과 새로운 국가 건설
조선무선중학교 설립과 운영
조선무선고등학교 인수와 연촌분교
6.25전쟁의 전개와 서울
피난과 시련
야간 강습소 설립과 폐결핵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분리, 연촌 교사의 복구
법인 광운학원의 출발
광운전자공과대학, 광운중학교,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로의 개명
제8장 경제 개발 시대 전자통신 교육의 기수
4·19와 5·16을 거치면서
거인들의 재회, 새로운 인연
엘리트 교육에 대한 자부심과 내실화
사회경제적 발전과 발맞춘 대학의 성장
대학의 발전과 성장을 위한 선진적 실험들
굳은 의지와 이성의 힘으로
광운학원, 한국의 대표 사학으로 도약하다
학원 운영과 가정교육, 육영 사업
‘실용주의’와 ‘사랑의 마음’
마무리글: 항상 그대와 함께 걷는 길
부록
조광운 연표(1899~1980)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