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세기 영제국의 변화와 해체, 그리고 영연방으로의 이행 과정을 살피는 데 초점을 맞추어, 영국사 및 영국 사회를 재구성한다. 영국 국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을 제국 네트워크의 지속과 해체라는 상수와 연결 지어 재구성함으로써 영국 현대사를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영제국을 보는 시각과 방법
보수적 해석의 계보
네트워크론
제국 해체와 국민감정
신제국사와 ‘문화적 전환’
1부 19세기의 유산
1장 재정-군사국가와 신사 자본주의
상인과 식민
재정-군사국가
금융혁명, 재정-군사국가, 전쟁
신사 자본주의의 개념
신사 자본가, 경제발전, 제국
2장 네트워크로서의 제국
19세기 제국 경영의 성격
백인 정착지와 속령
제국 네트워크
경제 교류와 무역
이주와 이민
제국 방어의 문제
19세기 제국의 기억
3장 제국과 ‘대영국’에 관한 담론
존 실리와 영국 근대사 인식
영국에서 ‘대영국’으로
백인 정착지와 대영국론의 확산
대영국론, 이상과 현실 사이
보수적 역사 인식의 영향
2부 전쟁과 불황
4장 전쟁과 동원
식민지회의에서 제국회의로
1차 세계대전 참전과 영제국의 자원 동원
전쟁의 피해와 사상자들
제국 질서를 둘러싼 갈등과 타협
‘영연방’으로의 길
5장 경제불황과 제국
제국 네트워크와 경제
금본위제 논란: 영국과 미국
오타와 경제회의와 제국 경제
중심부 경제쇠퇴의 요인
6장 제국 경영의 한계
전후의 사회 혼란과 제국 담론
제국회의와 새로운 제국 원리
아일랜드 문제
백인 자치령 문제
인도와 서아시아
동아시아와 영제국의 세계전략
영제국의 미래
3부 이행, 제국에서 국가연합으로
7장 제국의 해체, 2차 세계대전에서 수에즈 위기까지
2차 세계대전과 그 이후
수에즈 위기를 보는 시각, 이든과 아이젠하워
여론과 정치
운하 국유화 선언 이전의 갈등
군사개입으로의 길
스털링 통화권과 수에즈 위기
수에즈 위기가 남긴 것
8장 탈식민화의 정치와 영연방
런던 선언과 그 이후
1960년대 노동당 정부와 영연방의 변화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 정치에서 문화로?
9장 유럽으로의 복귀
초기 유럽통합운동과 영국의 태도
유럽과 영연방 사이에서
1970년대 가입 협상과 유럽공동체법
회원국 지위에 관한 1975년 국민투표
초국가적 정치체와 의회주권
4부 제국 이후
10장 제국의 기억과 영연방, 그리고 ‘상상의 잉글랜드’
‘유혈의 강’ 연설을 둘러싼 논란
노스탤지어로서의 ‘백인성’
이민과 ‘상상의 잉글랜드’
‘상상의 잉글랜드’가 남긴 것
11장 다문화 사회의 명암
문화접변과 정체성
혼종성
이민과 다문화─이스트 엔드의 사례
제국의 유산과 다문화 사회
12장 브렉시트, 그 이후
한 신문의 기획기사
투표 행태에 대한 통계분석
브렉시트, 잉글랜드 민족주의, 영국 헌정의 문제
탈퇴협상의 전망
영국은 어디로?
종장 거대한 경험과 유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