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개념사총서 일상 편 발간사
책을 펴내며-식민적 감수성과 탈식민적 원심력으로서의 한국 근대의 취미
프롤로그-근대적 개인의 존재감과 정체성의 표상
1부. 오래되었으나, 낯설고 새로운
1장 근대와 취미의 탄생
‘취미’의 개념은 어떻게 나타났을까
서구에서 테이스트taste는 어떻게 탄생하고 형성되었나
‘슈미’しゅみ(趣味), 일본이 받아들인 ‘테이스트’
근대 중국의 취미 개념
2장 취미의 한국적 전사前史
취미 유입의 초창기 흔적
취趣와 미味, 취미趣味와 취미臭味
취미臭味, 풍류風流, 기嗜, 벽癖, 치致―취미의 한국적 전사
3장 취미와 계몽
취미가 개화기 계몽 담론을 만났을 때
근대적 직분과 교육 논리부터 단순한 흥미와 호기심까지
2부. 취미의 한국적 정착
1장 근대 문명과 문화가 호출한 취미
『소년』과 신지식, 최남선의 ‘취미’
‘취미’趣味와 ‘취미’臭味의 경합
문명과 문화 그리고 식민
『청춘』, 고상한 쾌락과 활력으로서의 ‘취미’
2장 취미와 학생의 자질
『신문계』, 학술과 취미
‘취미와 실익’, 학생의 자질
3장 조선의 취미화趣味化와 공공 취미
『조선』, 『조선과 만주』와 공공 취미
공공 오락으로서의 구경과 관람 그리고 운동회
4장 시각적 스펙터클과 취미
공진회와 박람회, 구경꾼과 관객
시각적 스펙터클과 취미를 즐기는 주체
3부. 취미의 제도화
1장 오락과 재미, 문화상품이 된 취미
신파극의 인기
영화와 대중음악, 취미의 대중화와 상업화
2장 교육제도와 취미의 내면화
수신 교과서 취미를 가르치다
공식 문서에 기록되기 시작하다
3장 근대적 인간의 조건과 라이프스타일
개조와 계몽, 취미 담론의 관념성
사교와 도시의 라이프스타일
개인 프로필이자 ‘조건’이 된 취미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적 유행
4장 국가의 통제와 전시체제의 강요
통제 체제하의 검열과 정화
괴로움을 즐거움으로, 취미가 된 노동
총후국민, 후생 담론 그리고 전시 취미
에필로그-여가 문화의 확산과 취미의 증식
해방 이후, 역동하는 취미
신인류의 문화자본이 되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