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1부 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교육의 방향
1│시민 역사교육의 개념과 내용 구성 원리
국가 역사교육에서 시민 역사교육으로
시민 역사교육의 개념과 쟁점
민주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
시민적 관점의 역사교육
역사교육의 본질은 시민교육인가?
2│‘애국주의’를 넘어서 ‘세계시민주의’를 지향하는 역사교육
들어가는 말
애국심 교육을 둘러싼 논쟁과 대안 모색
세계시민주의를 통한 ‘국민’과 ‘세계시민’의 공존
‘애국주의’를 넘어서 ‘세계시민주의’를 지향하는 역사교육
3│교사의 민주주의 인식과 역사교육 내용 구성
역사교사의 인식 조사의 필요성
역사교육의 민주주의 논의
연구방법 및 조사 대상
역사교사의 반응 분석
역사교육 내용 선정기준으로 민주주의 적용의 가능성
2부 시민적 가치를 살리는 역사교육
1│탐구에서 만남으로: 역사수업의 학생 활동 양상과 민주시민 교육
역사수업의 학생 활동을 왜 논의해야 할까?
역사수업의 학생 활동: 왜? 어떻게?
민주적 공동체 속의 역사수업, 학생 활동을 향하여
민주적 가치를 살리는 역사교육을 기대하며
2│인권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초등학교 3·1운동 수업
인권 관점의 3·1운동 학습 가능성
역사교육과 인권교육의 관련성
3·1운동 수업구성
수업실천 및 성찰
3│남북통합을 위한 초등 역사교육 방향
새로운 패러다임의 남북한 역사교육 통합 필요성
초등 사회교과서 북한 관련 서술의 변화
남북한 역사교육 통합을 위한 내용 구성 논리
통합 역사교육 내용 구성 방안
평화활동을 통한 남북한 갈등 해결
3부 민주시민의 역량을 기르는 역사교육
1│삼별초 사례에 나타난 도덕성 양상과 역사학습
들어가는 말
역사이해 속 도덕성을 분석하기 위한 틀: 조너선 하이트의 도덕성 기반 이론
연구 사례: ‘제주 삼별초 이야기’ 학습과 도덕성 양상
역사적으로 맥락화된 윤리적 성찰을 생각하며 |
〈부록〉 제주항몽유적지의 기록화
2│초등학생의 역사텍스트 다원적 관점 인식
역사교육과 다원적 관점
다원적 관점의 개념과 요소
조사방법
학생들의 다원적 관점 이해
다원적 관점의 역사인식을 위한 역사교육
3│비공식적 역사 읽기를 통한 논쟁적 역사인식
논쟁적 역사 읽기의 필요성
비공식적 역사와 논쟁적 역사인식
논쟁적 역사 읽기 학습방안
논쟁적 역사 읽기 수업 사례
논쟁적 역사 읽기를 마치며
4│이봉창의 자아정체성 탐구를 통한 역사학습
자아정체성을 탐구하는 역사교육의 가능성
역사교육에서 정체성 접근 방향
자아정체성 탐구를 위한 인물과 전기물 선정
이봉창의 자아정체성 탐구 절차
이봉창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