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이야기’의 변개와 스토리텔링story-telling
1. 서사전통의 ‘창조적 계승’으로서 고전소설의 변개
2. 변개와 콘텐츠contents, 그리고 스토리텔링story-telling
3. ‘이야기’의 변개와 스토리텔링의 원리
4. ‘신숙주 부인 일화’의 소환과 ‘역사’의 스토리텔링
제2장 고전서사 문맥으로 풀어 낸 당대 현실-근대소설로의 변개
1. 고전소설의 근대적 변개 방식
2. 저항과 정의구현의 메시지,「홍길동전」
3. 새로운 애정 담론과 정치적 알레고리,「춘향전」
4. 가난한 현실과 냉혹한 세상에 대한 풍자,「흥부전」
제3장 아동들의 관점에서 재화한 고전소설-전래동화로의 변개
1. ‘전래동화’의 발생과 방정환의 동화론
2. 관념적 화해 혹은 응징,「놀부와 흥부」
3. 토끼와 자라의 지혜 겨룸과 풍자,「별주부」와「자라사신」
4. ‘동심 천사주의’와 근대적 합리성,「콩쥐 팥쥐」
제4장 절망적인 비장에서 흥겨운 해학까지-공연콘텐츠로의 재생산
1. 절망의 대사, 좌절의 몸짓-연극 <심청전>
2. 풍자가 제거된 흥겨운 해학의 무대, <배비장전>
제5장 ‘연애비극’·‘가정비극’과 ‘의적전승’의 영상화-영화콘텐츠로의 재생산
1. 한국영화사에서 고전소설 영화콘텐츠의 출현과 근거
2. 한국형 멜로드라마의 원형으로서 ‘연애비극’, <춘향전>
3. 고난과 희생, 그리고 구원의 메시지, <심청전>
4. 복수의 ‘활극’에서 정의구현까지, <홍길동전>
제6장 고전소설 변개와 콘텐츠의 문화사적 의미와 활용
1. 고전소설 변개와 콘텐츠의 문화사적 의미
2. 고전소설 콘텐츠화의 방향과 전망
3. 고전소설의 디지털 미디어적 특성과 교육적 활용
4. 한국 고전소설의 근대적 변개로서 외국어 번역
고전소설의 변개·콘텐츠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