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출인기
로지컬 라이팅 : 맥킨지식 논리적 글쓰기의 기술
발행연도 - 2019 / 지음: 데루야 하나코 ; 옮김: 김윤경 / 비즈니스북스
-
도서관
청라국제도서관
-
자료실
[청라국제]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I0000051928
-
ISBN
9791162540961
-
형태
252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경제학
>
경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서지/출판
>
책읽기/글쓰기
책소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며 베스트셀러가 된 <로지컬 씽킹>의 실천편이다. 이 책은 로지컬 라이팅 기술로 논리적 구성을 하고 명확한 표현 갖춰 비즈니스 문서를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목차
감수의 글 일 잘하는 사람은 논리적 글쓰기를 한다
시작하는 글 상위 1퍼센트의 논리적 글쓰기 비법
제1부 메시지의 구성
제1장 구성의 준비
1. 비즈니스에서 글쓰기를 이해한다
글쓰기의 목적
글을 쓰기 전에 조심할 함정
2. 커뮤니케이션 설정을 확인한다
주제 확인: 몇 가지의 어떤 질문으로 바꿀 수 있는가?
기대하는 반응 확인: 읽는 사람이 어떻게 해주기를 바라는가?
읽는 사람의 확인: 드러나지 않은 검토자가 있는가?
쓰는 사람의 확인: 문서 발신자는 누구인가?
3. 구성의 윤곽을 잡는다
구성의 대원칙
구성을 위한 힌트
제2장 본론의 구성 1 - 로지컬 씽킹의 개론
1. ‘논리적’이라는 의미를 이해한다
2. 논리적으로 사고를 정리하는 도구를 확보한다
MECE: 중복, 누락, 혼재 없이 나눈다
So What?/Why So?: 결국 요점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이끌어낸다
3.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도구를 확보한다
논리의 기본 구조
병렬형 논리 유형
해설형 논리 유형
제3장 본론의 구성 2 - 로지컬 씽킹의 실천
1. 논리 유형의 구성 방법을 이해한다
‘결론에서 근거로’ 전개하는 구성
‘근거에서 결론으로’ 전개하는 구성
2. 논리 유형을 구성한다
베타사의 사례: 설정
1단계. 질문을 확인하고 논리 유형을 선택한다
2단계. 위에서 아래로 MECE에 맞춰 틀을 만든다
3단계. 아래에서 위로 So What?/Why So?한다
3. 논리 유형을 자가 진단한다
확인 1. 읽는 사람의 Why So?에 과부족 없이 답변하고 있는가?
확인 2. 요지가 명확한가?
확인 3. 결론을 먼저 전달할까, 근거를 먼저 전달할까?
부록 다양한 논리 유형에 대한 자가 진단
제4장 도입부의 구성
1. 잘못된 사례에서 배운다
매몰 유형
표제 반복 유형
인사말 일관 유형
2. 도입부란 무엇인지를 이해한다
첫 번째 관점: 커뮤니케이션 설정의 공유
두 번째 관점: 읽는 사람의 관점에서 보는 커뮤니케이션 관찰
구성할 때의 유의점
3. 도입부를 구성한다
첫 번째 관점: 커뮤니케이션 설정의 공유
두 번째 관점: 읽는 사람의 관점에서 보는 커뮤니케이션 관찰
제2부 메시지의 표현
제5장 구성의 시각화
1. 한눈에 알 수 있는 문서를 만든다
2. 포인트 1: 보고서 제목과 중간 제목을 명기한다
보고서 제목으로 주제와 기대하는 반응을 시사
중간 제목으로 구성을 명시
항목형과 So What?형의 중간 제목 사용법
3. 포인트 2: 기호와 간격을 활용한다
논리 유형상의 위치를 기호와 간격으로 구분
기호로 드러내는 MECE와 So What?/Why So?의 관계
4. 포인트 3: 첫머리에 설명의 기준을 명시한다
잘못된 사례: 설명의 기준이 문서 속에 묻혀 있다
바람직한 사례: 설명의 기준이 첫머리에 있다
부록 시각화의 응용
제6장 메시지의 문장 표현
1. 비즈니스 문서에서 중요한 세 가지 요건을 이해한다
2. 요건 1.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사안의 핵심을 표현한다
애매한 단어나 표기 방법에 주의한다
3. 요건 2. 논리적 관계를 바르게 표현한다
MECE 관계를 드러낸다
So What?/Why So?의 관계를 나타낸다
4. 요건 3. 간결하게 표현한다
문장을 단순하게 한다
쓸데없는 표현을 없앤다
부록 셀프 에디팅을 위한 체크 리스트
마치는 글 누구나 논리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다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3 |
30대 | 1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1 |
2020년 | 1 |
2021년 | 1 |
2022년 | 1 |
2023년 | 1 |
2024년 | 1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