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시리즈 47권. 원고와 피고가 변호사를 통해 소송을 벌이는 ‘법정식’ 구성을 통해 강화도 조약을 체결할 당시 조선 측 협상 대표였던 신헌이 일본 측 협상 대표인 구로다 기요타카를 상대로 불평등 조약의 부당함을 이야기한다. 문호 개방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던 당시 조선의 시대상과 강화도 조약이 조선의 근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려주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교과서에는 연표 등장인물 프롤로그 미리 알아두기 소장
재판 첫째 날 일본은 왜 강화도 조약을 맺으려 했을까? 1. 대원군의 하야와 민씨 세도 정권 수립 열려라, 지식창고_조선의 국모, 일본 낭인의 칼에 쓰러지다 2. 일본의 끈질긴 개항 요구 3. 운요호 사건은 왜 일어났을까? 휴정 인터뷰
재판 둘째 날 강화도 조약은 어떻게 맺어진 것일까? 1. 왜 조선과 일본의 사신은 신경전을 벌였을까? 열려라, 지식창고_조선의 근대화를 고민한 개화당 2. 왜 강화도에서 조약을 체결했을까? 3. 강화도 조약의 체결 과정 휴정 인터뷰
재판 셋째 날 조선 침략의 지름길이 된 강화도 조약 1. 강화도 조약을 낱낱이 해부한다 열려라, 지식창고_강화도 조약 전문 2. 강화도 조약이 두 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열려라, 지식창고_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고종 휴정 인터뷰
역사 유물 돋보기 최후 진술 판결문 에필로그 떠나자, 체험 탐방! 한 걸음 더! 역사 논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