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국의 지역사회 기반 사회적기업들이 어떤 형태로 존재하고 어떻게 활동하는지, 그들의 잠재력과 성과는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저자들은 전북지역의 사회적기업 탐방으로부터 시작하여, 전국 대부분 지역의 대표적 사회적기업과 지원조직을 탐방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발간사
추천사
머리말
서문 한국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전망
제Ⅰ부 지역사회 재생 사회적기업
Chapter 1 비지로 만든 햄버거와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_ 청주의 로컬푸드 사회적기업, 생명살림 올리
Chapter 2 청년에 의한 전통시장 혁신화 프로젝트 _ 전주의 청년 사회적기업, 이음
Chapter 3 ‘원주민 + 귀농인’ 협치 모델 _ 진안의 지역공동체기업, 희망백운영농조합
제Ⅱ부 지역사회 기반 노동통합사회적기업
Chapter 4 사회적기업에서 사회자본의 효과 _ 제주의 청소 사회적기업, 클린서비스 보금자리
Chapter 5 시민참여형 장애인 고용 사회적기업의 특성과 잠재력 _ 광주의 중증장애인 고용기업, 틔움쿠키
Chapter 6 농업과 장애인 노동통합의 연결 모델 _ 제주의 지적장애인을 위한 농업 사회적기업, 일배움터
제Ⅲ부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기업
Chapter 7 조합원 소유 비즈니스 모델과 사회적협동조합 _ 대전의 사회적협동조합, 민들레 의료생활협동조합
Chapter 8 공정여행과 사회적기업의 상품 _ 제주의 여행 전문 사회적기업, 제주생태관광
제Ⅳ부 지역사회 사회적기업 지원조직
Chapter 9 사회적기업 지원조직의 성장을 위한 조건 _ 태백지역의 노동통합 사회적기업 지원조직, 태백지역자활센터
Chapter 10 사회적기업 지원조직의 리더십 _ 남양주의 지원조직, 남양주 사회적경제지원센터
Chapter 11 사회적기업 지원조직과 민관 협력 거버넌스 _ 완주의 풀뿌리공동체회사 지원조직, 완주 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Chapter 12 사회적기업 지원조직에서 전문가(성)의 중요성 _ 진안의 마을기업 지원조직, 진안 마을만들기지원센터
부록 한국 사회적기업 기행하기
1. 충청북도의 사회적기업
2. 전라북도의 사회적기업
3. 제주도의 사회적기업
4. 충남 아산지역의 사회적기업
5. 강원도 원주지역의 사회적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