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이 어떠한 상황에서 태동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고대까지 거슬러 간다. 이 책에서 저자는 편견의 사회적·심리적 조건에 대해 탐구하면서 근대 이후 나타난 편견의 양상들을 분석하였다. 즉 인종적·종족적 편견, 종교적 편견 그리고 계급 편견, 여성에 대한 편견, 성에 대한 편견들이 분석 대상에 망라되어 있다.
목차
서문
1. 존재론적·인류학적 관점에서 본 편견의 조건 가다머의 편견 개념 현재와 과거 계몽주의와 경험론적 편견 개념 던져짐과 지향 격정과 감정 개별적 주체와 개인
2. 사회적·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편견의 조건 계층화와 기능 문화 공동체 과잉 일반화와 스테레오타입 동화, 이질화 그리고 문화적 기억 이해와 안정 책임으로부터의 도피 정체성 트라우마 상상력과 투사(投射)
3. 어째서 근대에 이르러 편견이 생겨났는가? 근대의 역동성 만족하지 못하는 사회 근대의 구조 근대의 구성 근대의 정치 자유 평등과 불평등 형제애 근대의 비판 지배적 세계관 현대 문화에 대한 물음
4. 인종·종족·종교적 편견들 인류학적 문화 개념 문화와 문명 고급문화 개념 문화적 담론 개념 덧붙이는 말: 진리의 개념에 관하여 인종주의 반유대주의의 전개
5. 악(惡)과 전체주의 세계사에 나타난 악의 기능 자연적인 악 도덕적인 악 전체주의의 발전 소비에트연방, 나치 독일 그리고 홀로코스트
6. 계급에 대한 편견, 여성에 대한 편견 그리고 성에 대한 편견 정적인 정의와 역동적인 정의 분배의 정의와 징벌적 정의 파르베누(Parvenus) 성에 대한 편견 여성에 대한 편견
7. 철학적 편견 자연과학 개인적 편견 정체성에 대한 물음
후기 참고 문헌
서가브라우징
아미쿠스 모르티스 : 죽음을 함께 맞이하는 친구2016 / 지음: 리 호이나키, 옮김: 부희령 / 삶창
정선 사서 : 논어, 맹자, 대학, 중용2016 / 편역: 최석기 / 창비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 : 한국의 정신은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2016 / 지음: 이승헌,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 한문화
文章, 조선을 경륜하다2018 / 지음: 오세현 / 나녹
디오니소스의 귀환 : 신을 탄핵한 광기의 철학2018 / 지음: 이동용 / 이담북스
철학 주식회사 : 미생 플라톤의 직장생활 체험기2015 / 지음: 샤를 페팽, 옮김: 쥘 그림 ; 옮김: 이나무 / 이숲
중국은 어떻게 서양을 읽어왔는가 :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상계의 백화제방2017 / 지음: 왕첸, 옮김: 홍성화 / 글항아리
편견 : 다양한 편견의 양상과 우리가 가진 편견에 관하여2015 / 지음: 아그네스 헬러, 옮김: 서정일 / 이론과실천
모든 것의 역사2015 / 지음: 켄 윌버, 옮김: 조효남 / 김영사
무엇을 할 것인가? : 그람시를 읽는 두 가지 방식 : 알튀세르 유고집2018 / 지음: 루이 알튀세르 ; 옮김: 배세진 / 오월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