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로 돕고 교실을 만드는 평화샘 프로젝트
1장 평화로운 교실공동체 만들기의 출발 - 목표와 원칙 공유
왕따가 있는 교실, 서로 돕는 교실
평화샘 프로젝트의 전제 - 교사의 자기성찰 및 비폭력 선언
평화로운 교실공동체의 시작, 멈춰와 놀이
폭력에 대처하는 4대 규칙을 공유하는 시간
평화로운 교실공동체를 위한 급훈 정하기
평화로운 교실공동체를 위한 학급 규칙 정하기
학기 중에 전학 온 아이와 어떻게 규칙을 공유할까?
폭력에 대처하는 4대 규칙을 부모와 어떻게 공유할까?
아이, 교사, 부모가 함께하는 평화 서약식
평화로운 교실공동체 성장 단계 평가
● 평화샘 프로젝트는 왜 벌과 보상을 넘어선 공동체의 창조를 말하는가
2장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핵심 장치 - 멈춰와 역할극
평화를 부르는 소리 '멈춰'
멈춰 제도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반성하는 장소, 학급회의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 역할극
● 우리 문화와 평화샘 프로젝트 - 올베우스 프로그램, 키바 코울루 프로젝트와의 비교를 중 심으로
● 부모 확산 사례 1 학교의 집단 괴롭힘에 관한 부모들의 도전, 그 성과와 한계
● 부모 확산 사례 2 대안학교에서 집단 괴롭힘의 대물림을 끊다
3장 학교 폭력의 토양 - 학급 카스트
김 선생 학급 카스트를 알다
학급 카스트는 왜 파악해야 할까?
인간사회의 위계질서는 당연한 것일까?
학급 카스트 파악방법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에 대한 차별과 학급 카스트
학급 카스트를 파악하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4장 여자아이들은 왜 뒷담화를 할까?
외톨이가 된 윤하
여자아이들의 공격성은 어떻게 나타날까?
관계적 곤경에 처한 여자아이들을 어떻게 도울까?
구체적인 상황에서 관계적 공격에 대처하는 법
5장 남자아이들은 왜 문제아가 될까?
남자라는 이름으로 받는 상처
고 선생의 위기에 빠진 남자아이들 구하기
6장 평화는 진정한 배움을 촉진한다
스트레스는 학습회로, 감정회로를 폐쇄한다
평화로워진 관계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
자연 속에서 서로 관계 맺는 나들이
배움을 나눌 수 있는 보물지도, 자원 탐색
공동체 속에서 나를 표현하는 시간, 자기표현
교실은 예술공간, 생활 속 예술교육
자발성과 우정을 꽃피우는 동아리
부록
부록 1 학교 폭력 발생 시 갈등을 줄일 수 있는 상담 요령
부록 2 학교 폭력 발생 시 부모들의 대응방법
부록 3 평화샘 프로젝트 기본 연수 프로그램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