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빅데이터와 구어 말뭉치를 통해 한국어 속에서 사용되는 영어 단어들의 역사와 특징, 의미와 분포를 분석한 책. 국어학이나 언어학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가능한 널리 쓰이는 말들을 사용했으며, 전문용어가 필요한 경우는 설명과 예를 달았다.
목차
들어가며
Ⅰ. 영어, 영어, 그리고 또 영어
1. 2013년, 멘붕의 시대를 살아가며
2. 1937년, “요새 新聞에는 英語가 많아서 도모지 알아볼 수가 없다”
3. 1653년, 하멜을 환영했다면……
4. 한중일 - 문화 공동체, 언어 공동체
5. 영어로 먹고 사는 세상
Ⅱ. 단어, 단어, 그리고 또 단어
1. 새로운 단어 -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2. 쏟아지는 영신어, 살아남은 영신어 : 1994~2013년
3. ‘한국어표’가 되기까지
4. 한국에서만 쓰이는 영어 단어들
Ⅲ. ‘감’ 잡았습니까?
1. 포도주와 와인, 닭과 치킨
2. 단순함과 심플함의 차이는?
3. 기계도 스마트(smart)할 수 있는가?
4. 이중 국적 단어들
Ⅳ. 신어와 신세대 문화 : 커피 마시고 스마트폰하고
1. 웹과 넷의 세계
2. 소셜의 세계
3. 커피 마시는 나라
4. 톡톡 튀는 문화 : 세상에 이런 일이 - 세상에 이런 말이?
5. 쿨하고 시크하고 엣지 있는 것은?
Ⅴ. 영어의 미래 (그리고 우리말의 미래)
1. 정체성 고민 : 누구의 영어인가?
2. 영어 속 외래어들 : 먹을거리를 중심으로
3. 영어 속의 한국어
맺음말
참고 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