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검토
3. 시대구분
4. 연구 방법과 범위
제2장 한국 시극의 발생 배경과 발표 현황
1. 시극의 양식적 개념
2. 한국 시극의 발생 배경
3. 한국 시극 작품의 발표 현황과 연구 대상 확정
제3장 한국 시극의 사적 전개 양상
1. 시극의 초창기(20년대), 읽는(낭송) 시극의 탄생
1) 작품 발표 현황과 서지 개관
2) 개별 작품에 대한 기초적 분석
(1) 박종화의 시극 세계: 참사랑 탐색과 근대적 인간관
(2) 오천석의 시극 세계: 인류의 공존공영에 대한 염원
(3) 유도순의 시극 세계: 삶의 세 가지 양태의 대비와 낙원 회복 갈망
(4) 이헌의 시극 세계: 개인적 사랑에서 공동체 의식으로의 확장
(5) 마춘서의 시극 세계: 회자정리와 인생무상
(6) 노자영의 시극 세계: 낙관주의와 비관주의의 대조
3) 작품의 특성 종합
(1) 시적 질서
(2) 극적 질서
(3) 주제의 특성
4) 초창기 시극의 의의와 한계
2. 시극의 지속성 위기기(30~40년대), 공백기를 잇는 유일한 시극
1) 대중극의 범람과 시극의 지속 가능성 위기
2) 시극 단절의 위기를 넘어서는 [어머니와 딸]
3. 시극 재건의 맹아기(50년대), 무대 시극의 탄생과 시극 운동의 태동
1) 시극에 대한 관심 재생
2) 현대 시극의 시발점, 장호의 무대 시극 <바다가 없는 항구>
3) 시극 운동의 필요성 인식과 ‘시극연구회’의 탄생
4. 시극 운동의 실현기(60년대), ‘시극동인회’의 활약과 공연 실현
1) 시극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방송 시극 실험
2) 방송 시극의 실제, 장호의 <사냥꾼의 일기>
3) ‘시극동인회’의 출범과 본격적인 시극 운동 전개
4) 시극 발전에 대한 장호의 열정과 시련
5) 무대 시극의 작품 세계
(1) 이인석의 시극 세계: 이산가족의 고통과 존재론적 성찰
(2) 신동엽의 시극 세계: 비극적 역사인식의 종합예술화
(3) 홍윤숙의 시극 세계: 중년의 존재론적 성찰과 위기의식
(4) 장호의 시극 세계: 최초의 장막 시극 <수리뫼>와 경계인의 비극성
(5) 전봉건의 시극 세계: 남성성 성찰과 비판
6) 60년대 시극의 의의와 한계
5. 시극 전개의 절정기(70년대), 시극 운동의 잠재화와 세대교체기
1) 제1기 시극 운동의 여운과 종막
2) 신세대의 등장과 시극 양상의 다변화
3) 개별 작자의 작품 세계
(1) 장호의 시극 세계: 애국심과 역사인식
(2) 이인석의 시극 세계: 비극적 존재인식과 공동체의식
(3) 문정희의 시극 세계: 설화의 현대적 변용과 자아 추구
(4) 이승훈의 시극 세계: 미성숙한 청년의 비관주의와 시적 자아의 반영
(5) 박제천의 시극 세계: 욕망의 성찰과 허심 지향
4) 1970년대 시극의 의의와 한계
6. 시극 운동 재인식기(80년대), 시의 대중화 노력과 공연의 절정기
1) 제2의 시극 운동 동인회의 탄생과 활동 양상
(1) ‘현대시를 위한 실험무대’의 탄생 배경과 출범 과정
(2) 동인회의 활동 양상
(3) 공연된 작품들에 대한 비교 분석
(4) ‘현대시를 위한 실험무대’의 종막과 성과
2) 동인 활동 이외의 개별 작품들의 특성
(1) 문정희의 시극 세계: 모순된 존재와 비극성 성찰
(2) 신세훈의 시극 세계: 분단의 비극과 통일 염원
(3) 강우식의 시극 세계: 타락한 사회 풍자와 비관적 미래
(4) 하종오의 시극 세계: 갈등적 현실과 이념의 허상
3) 80년대 시극의 의의와 한계
7. 시극 창작의 침체기(90년대), 창작의 하강과 연구의 상승
1) 대중문화 시대의 도래와 시극계의 위기
2) 시극의 맥을 잇는 소중한 작품들
(1) 이윤택의 시극 세계: 타락한 도시 비판과 신화의 현대적 재현
(2) 진동규의 시극 세계: 백제 혼에 대한 그리움과 정신적 원형 탐색
(3) 황지우의 시극 세계: 광주민중항쟁을 통한 인간 본성 성찰과 예술화
3) 줄어드는 창작과 늘어나는 연구
제4장 결론
1. 한국 시극 작품들의 기본 특성
2. 영속되어야 할 한국 시극의 역사
참고문헌
부록 : 인명과 시극 작품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