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표현 및 대항표현의 정의와 기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둘의 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낸 책이다. 혐오표현의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하면서도, 표현의 자유가 갖는 중요성을 놓치지 않고 대항표현의 가능성과 당위를 성실하게 모색한다.
목차
머리말
1 존엄한 삶에 대한 확신의 파괴 _혐오표현 차별적이고 폭력적인 행위 소수자를 겨냥한 낙인 ‘그냥 말’은 없다 언어로 하는 구타 : 모욕 “난쟁이가 욕심도 많다” 온라인이라는 숙주 증오의 촉진 : 선동 “이주여성이 와서 서민들의 일자리를 뺏는다” 교묘히 은폐된 편견들 열등한 신분의 창조 : 종속 “호남 출신 사람들은 뽑지 말라” 표현의 권력은 평등하지 않다 성적 대상화의 문제 묵살과 왜곡의 이중주 : 무시 “그냥 밥하는 아줌마들” 언어가 있어도 말할 수 없는 이유 그들이 원한 것이다? × 어떤 게 혐오표현일까?
2 모욕당하고 배제된 타자들의 이름 되찾기 _대항표현 차별과 폭력을 무효화하는 행위 말대꾸의 세 가지 도구 객관적 정황의 재현 : 사실성 거짓에 기초한 혐오표현의 논박 ‘예멘 합동결혼식’의 진실 관습의 교란 : 정당성 “오백만 년 전에 하던 소리” 을들의 반란 내면에의 호소 : 진정성 혐오의 신화 “부모한테 자식은 지겨울 수가 없어요” 전복, 탈환, 패러디 : 산발적 대항 “남자가 웃어야 집안이 평화롭다” www.하나님은 동성애자들을 사랑하신다.com “성 상품화가 왜 나빠요?” 혐오를 허용하는 사회 : 지속적 대항 개별적 저항의 한계 국가 차원의 말대꾸 “오늘 우리는 ‘혐오의 시대’와 결별을 선언한다” × 좀 더 교묘한 혐오표현은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
보론 그럼에도 혐오할 자유가 있다고 말한다면 _표현의 자유 진리 논증 표현은 우리를 진리로 이끈다 진리와 관련이 없는 표현들 중립주의의 허점 권리 논증 혐오할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 누구의 권리인가? 민주주의 논증 공론장의 선결 조건 전쟁터는 수호하지 않는다 미끄러운 경사면 논증 금지하는 것은 설득하는 것이 아니다 일베의 폭식투쟁을 경찰이 보호할 때 역량 논증 사람다운 삶을 위한 무기 “너 하나 병신 만드는 건 일도 아니다”
주
서가브라우징
세계의 기호와 상징 사전2021 / 지음: D. R. 매켈로이; 옮김: 최다인 / 한스미디어
읽으면 진짜 이모티콘으로 돈 버는 책2018 / 지음: 임선경 / 위즈덤하우스
가장 쉬운 이모티콘 만들기 2019 / 정수진 지음 / 정보문화사
진짜 하루만에 끝내는 이모티콘: 원데이클래스2021 / 지음: 정오목 / 티더블유아이지
혐오 발언 : 너와 나를 격분시키는 말 그리고 수행성의 정치학2016 / 주디스 버틀러 지음 ; 유민석 옮김 / 알렙
알파벳과 여신 : 여성혐오는 어떻게 세상을 지배했는가?2018 / 레너드 쉴레인 지음 ; 윤영삼, 조윤정 옮김 / 콘체르토
기죽지 않고 흥분하지 않고 끝까지 할 말 다 하는 법 2020 / 제니퍼 앨리슨 지음 ; 윤동준 옮김 / 다른상상
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 : 모욕당한 자들의 반격을 위한 언어를 찾아서2019 / 지은이: 유민석 / 서해문집
벽을 뚫는 대화법 : 말해봤자 소용없고 참자니 속 터질 때 2020 / 제이슨 제이, 가브리엘 그랜트 [공] 지음 ; 김지혜 옮김 / 알키
잡담 말고 스몰토크: 소소하지만 대체할 수 없는 매력적인 소통법2020 / 데브라 파인 지음, 김태승, 김수민 옮김 / 일월일일
한국 사회의 다중언어 의사소통 2022 / 지음: 이정란 [외]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유튜브에 빠진 너에게 : 인스타그램부터 가짜 뉴스까지 Z세대를 위한 미디어 수업 2020 / 지음: 구본권 / 북트리거 :
모든 것은 인터넷에서 시작되었다 :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여섯 가지 이야기 2020 / 김경화 지음 / 다른
(광고로 보는)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소비문화사 = (A)History of consumption culture of media technology in advertisements and commercials2016 / 김병희 지음 / 서울경제경영
펭수의 시대: 펭수 신드롬 이면에 숨겨진 세대와 시대 변화의 비밀2020 / 지음: 김용섭 / 비즈니스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