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PART 01 남아들의 또래문화
Chapter 01 '노는' 또래문화의 형성과 일상 공간의 변화
1. 우정 맵의 추이
2. 어울림 공간의 변화 - 일상의 변화
1) 생활의 근거지가 된 ‘7번가(PC방)’
2) 일탈 사회화의 공간이 당구장
3) 금지된 행위의 온상지가 된 S 초등학교 운동장
3. 에필로그
Chapter 02 또래문화 속의 폭력성과 권력
1. 중학교전이 전·후의 또래집단 속의 폭력성
1) 전이 전 또래집단 형성: 싸우면서 욕하면서
2) 전이 후 또래집단 형성: 서열 짓기
2. 또래문화 속의 폭력성과 권력 정당화
1) 위치 재생산과 폭력성
2) 폭력의식(또는 피해의식)과 권력 정당화
3. 에필로그
Chapter 03 흡연또래문화의 형성과 특성
1. 흡연의 사회심리적 특성
1) 흡연 일상 사회화
2) 흡연 일상의 양면성
2. 흡연의 사회관계적 특성
1) 흡연의 폭력 징후
2) 흡연(또는 금연)의 가교적 역할
3. 에필로그
PART 02 여아들의 또래문화
Chapter 04 카스, 또 다른 일상의 공간
1. 어울림과 갈등이 공존하는 소통의 공간
1) 어울림의 공간
2) 갈등의 공간
2. ‘공감글귀’와 상징적 기호들
1) ‘공감글귀’
2) 다양한 상징적 기호들
3. 에필로그
Chapter 05 욕설, 카스 그리고 일상
1. 욕설, 다양한 의미전달의 도구
1) 상반된 의미전달
2) 불안정한 상태의 표출
2. 카스, 욕설또래문화의 장
1) 관계 지향적 의미부여
2) 분노의 표출과 공감
3) 경고의 메시지와 반응
3. 카스, 일상의 장
1) 지배 권력관계 형성의 장
2) 젠더 사회화의 장
3) 우정덤(friendshipdom) 형성의 장
4) 이성애의 입문
4. 에필로그
Chapter 06 이성애문화
1. 이성애적 이상형
1) 남친의 자격: “남친은 이래야 해요”
2) 여친의 자격: “여친이 되려면 이래야 돼요”
2. 연애의 규칙
1) 연애의 정석
2) 연애의 기술
3. 에필로그
PART 03 놀이, 배움, 학교공동체
Chapter 07 놀이와 배움
1. 놀이에 관한 담론들
1) 놀이의 존재론적 가치
2) 놀이의 본질적 가치
2. 놀이와 배움의 이중주
1) 놀이와 배움의 ‘터’
2) 놀이 세계와 ‘만남’: ‘배움’, ‘돌봄’, ‘교육’
3. 에필로그
Chapter 08 학교로의 귀환: '배움'과 '돌봄'의 학교공동체
1. 배움의 공공체교육의 철학적 원리
2. 배움 중심의 수업 디자인과 전문가 학습공동체
1) 교사협의회 사례
3. 학교공동체와 학교폭력
4.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