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불교신앙에서 아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사리"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다. 오랫동안 사리를 모시고 수행하고 있는, 단양 방곡사의 재한 스님과 은사 묘허 스님이 체험한 사리의 이적과 신비한 현상들을 중심으로, 사리와 관련된 궁금증이나 신앙적 의미 등을 풀어내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1 사리란 무엇인가?
2 부처님으로부터 시작된 사리
3 사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사람의 정신에너지가 뱀의 형상으로 나타나다
영원스님이 구렁이로 태어난 스승을 천도하다
원명사 구렁이 이야기
상사뱀 이야기
49재의 공덕으로 뱀의 몸을 벗어나다
4 사리는 어떻게 수습하는가?
좌탈입망한 스님
종정스님 다비식장에서의 사리 방광
5 생전에 몸에서 나오는 생전사리
6 사리의 명칭은 어떻게 붙이는가?
불뇌사리
정골사리
법신사리
발사리
백호사리
육사리
근사리
골사리
채색사리
7 한반도에 처음 모셔진 진신사리
8 사리가 일으키는 현상과 용어에 관하여
방광
증과
합과
분과
감과
멸과
환과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신 사리
란타우 대불에서의 사리 출현91
사리의 은현자재
문경 대승사의 사리 방광
사리의 일다무애
9 사리에 관한 근세의 기록
사리가 얼마나 귀중한 불보인가에 관하여!
조선시대 통도사의 사리 신앙
『사리영이』의 경험담
『사리영응기』의 영험담
세종임금의 불심
『사리영이』와 『사리영응기』의 영험비교
진신사리가 지닌 진신의 힘
10 사리 및 불보살님의 신통 가피력에 관하여 …!
종교의 근원
삼계 28천
친견한 현상들
안성 경수사
십바라밀
화엄 대선사
화엄 대선사 일화 1
화엄 대선사 일화 2
화엄 대선사 일화 3
화엄 대선사 일화 4
화엄 대선사 일화 5
원명사에서 일어난 현상들
원명사 지불 지장보살님께서 나투신 신통력
빈 사리함 안으로 들어와 계신 출현사리
지장전 100일 기도를 한 성상스님
날아다니면서도 우리가 하는 말을 다 알아들으시는 사리
말을 알아들으시는 사리
철쭉 꽃잎 위에 내려앉은 골사리
김해 천문대
극락암 결제 중에
하늘에 떠 계시는 사리 불빛
밝은 대낮에도 하늘에 떠 계신 부처님 사리 불빛
홍콩 란타우 대불 사리 친견
원명사 정 거사 차량운행 시 큰 사리 불빛
1996년 4월 8일 부처님 오신 날
은사 스님 몸에서 나온 방광의 불빛
꿈에 대하여
현몽은 무엇이며 선몽은 무엇인가?
선몽
죽은 시신의 관에서 나타난 방광 현상
하늘에 떠 있는 두 개의 태양
두타선원 개원 후 하늘에 나타난 이적 현상
정철우 대선사 이야기
방곡사 이야기
방곡사 두 번째 철야기도
어느 보살님의 집에 따라간 사리
홍콩 란타우 대불 친견 때의 이적
중국 구화산 참배
중국 오대산 참배
인도 델리박물관 사리 방광
중국 조주선사 참배 시 출현한 사리
문수보살님의 현신을 친견
방곡사에 오신 문수보살 현신
중국 운남성 계족산 이야기 [허운대사]
방광은 왜 하는 것이며, 그 뜻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11 중음신 현상과 기도에 관하여 …!
원효대의 신비
경주 여음곡
영천 돌할매
문경 열녀비
돈 찾아주는 보살
심령수술
맥만 짚으면 무슨 병인지 다 알아맞히는 처사
최성팔 중음신 이야기
호법신중
단계가 가장 높은 신들은 역시 사천왕이다
천성산 신선 이야기
원효대사와 신선 이야기
오컬트 문화
불교의 생사해탈이란 무엇인가?
여래십대발원문
아미타불 48대원
관세음보살의 발원
보현보살 십대행원
사홍서원
건성기도
능엄경의 50변마장
12 중도에 대한 이해
영명 연수선사의 중도사상
『소실육문』에 소개된 중도적 내용
선과 악에 대한 고찰
13 사리와 양자론
시간의 해석
사리는 어떠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전자 불확정성의 원리
불생불멸은 어떠한 내용인가?
상태의 공존
전자는 파동과 입자의 존재이다
전자의 상호작용
다중세계
물질이 갖는 정신에너지와 정신에너지의 물질화 현상
육체를 벗어난 영체의 물질(물체)화 현상
물질이 정신에너지의 작용으로 일으키는 현상
물질이면서 정신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사리
세상은 무엇이 움직이며 무엇이 주체인가?
불교철학에서 세상과 만물의 주체는 누구인가?
유신론에서의 만물의 주체
과학에서의 만물의 주체
힉스란?
중국철학에서의 만물의 주체
불교철학의 깨달음
맺는말
덧붙이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