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5판에서는 여러 학문분야가 골고루 참여하여 도시를 이해하고 해석해 보고자 기획했다. 도시를 주요하게 연구하는 도시지리학, 도시계획학, 건축학, 도시행정학, 사회학, 경제학, 경영학 등 분야의 전문가들이 저작에 참여했다.
목차
제1부 도시개관
제1장 도시의 함의
제1절 도시와 도시화
제2절 도시의 기원과 발달
제3절 한국의 도시발달
제4절 현대도시의 함의
제2장 도시와 사회이론
제1절 도시와 사회학
제2절 고전사회학의 도시이론
제3절 생태주의 도시이론
제4절 신 베버주의 도시이론
제5절 신 마르크스주의 도시이론
제6절 사회이론과 도시연구
제3장 도시문화와 도시브랜드
제1절 도시의 문화
제2절 도시브랜드
제3절 도시의 경관과 도시설계
제2부 도시의 체계와 구조
제4장 도시규모와 중심지이론
제1절 도시의 순위규모법칙
제2절 한국도시의 순위규모
제3절 중심지이론
제4절 중심지이론의 발달
제5장 도시내부구조와 주거기능
제1절 도시토지이용의 생태학적 접근방법
제2절 도시내부구조의 개념과 공간분화
제3절 도시 기능
제6절 대도시지역과 그린벨트
제1절 대도시지역
제2절 그린벨트와 신도시
제3부 도시의 경제활동
제7장 도시와 재정
제1절 개관
제2절 도시정부 세출
제3절 도시정부 세입
제4절 도시재정건전성과 지속가능성
제8장 도시와 경영
제1절 도시경영의 함의
제2절 도시경영을 위한 이론적 틀
제3절 도시경영 사례
제4절 도시경영의 도전과 과제들
제9장 도시의 교통 혼잡
제1절 도시와 교통 혼잡
제2절 규제 중심의 1세대 교통 혼잡관리
제3절 토지이용-교통 결합형 2세대 교통 혼잡관리
제4절 첨단기술 혼합형 3세대 교통 혼잡관리
제10장 정보도시와 정보통신산업
제1절 정보도시의 개념
제2절 정보도시의 진화와 이슈, 그리고 미래상
제3절 정보경제와 정보통신산업
제4절 정보도시(U-City 또는 Smart City) 만들기
제11장 창조성과 창조도시
제1절 창조성과 창조도시
제2절 창조경제와 창조도시
제3절 창조도시전략과 적용
제4부 도시 관리
제12장 도시계획과 도시재생
제1절 도시계획 개념과 제도
제2절 도시재생 개념과 제도
제3절 시민참여 도시계획과 도시재생
제13장 도시와 도시행정
제1절 도시행정의 개념과 이념
제2절 도시행정의 범위와 기능
제3절 도시행정의 이론적 접근
제4절 도시행정의 변천
제5절 환경변화와 도시행정의 과제
제14장 건강도시와 건강도시 만들기
제1절 건강도시란
제2절 건강도시 실태 및 조성사례
제3절 건강도시 만들기 정책
제15장 재해 발생과 도시방재
제1절 재해 발생
제2절 Risk Management
제3절 재해 발생과 방재대책
제16장 도시관리와 GIS
제1절 GIS의 등장
제2절 GIS의 이해
제3절 GIS 활용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