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최초 양국의 학자 10인이 5년에 걸친 3.1운동 공동 연구의 성과물을 출간한다. 한국 학자들이 학생층과 손병희, 안중근, 조소앙 등 식민지배 피해자의 활동을 다룬다면, 일본인 학자들은 당시 일본정부 재판 기록, 정책, 일본 지식인 등 가해자의 대응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목차
책이 나오기까지 / 이태진
제1부 총론 국민 탄생의 역사 -3·1독립만세운동의 배경- / 이태진 일본의 헌법체제 수립과 식민지 청산에 대하여 / 사사가와 노리카쓰 3·1독립만세운동의 세계사적 시각 -세계사 인식·세계사 서술과의 관련- / 아라이 신이치
제2부 3·1독립선언과 만세시위운동 3·1만세운동의 경성(서울) 학생시위 실황 -〈경성지방법원 예심종결서〉의 분석- / 이태진 3·1운동 만세시위 관립전문학생들의 내면세계 / 김태웅 3·1운동 만세시위 한국인 보통학교학생의 참가 양상과 민족의식의 성장 / 김태웅 3·1운동 정신에 기반한 한국, 자유민권운동 격화를 힘으로 억누른 일본 -국가형성 관련 ‘참주僭主’와 ‘폭군暴君’의 과제- / 사사가와 노리카쓰 3·1독립운동 관계 판결에 의거하여 -내란죄를 둘러싼 판결의 점검- / 사사가와 노리카쓰
제3부 3·1만세운동의 사상과 문학 손병희의 사상과 3·1독립만세운동 / 변영호 조소앙의 ‘민국’ 인식에 대한 연원 탐색 / 김승일 3·1독립운동과 일본문학의 관련 양상 / 세리카와 데쓰요 일제강점기 안중근에 대한 기억의 전승, 유통 / 김대호
제4부 3·1만세운동 전후의 식민지배체제 안중근과 일본, 일본인 / 김봉진 일제시기 사직의 폐지와 사직제의 국가신도적 변용 / 김대호 3·1운동과 식민지근대화론 / 도리우미 유타카
3·1독립만세운동 연구 자료 및 논저 목록 1919~2018년 / 오정섭, 김선영
필자 소개
서가브라우징
조선을 탐한 사무라이 : 상투 잡은 선비, 상투 자른 사무라이2016 / 지음: 이광훈 / for book
우리 안의 식민사관 : 해방되지 못한 역사, 그들은 어떻게 우리를 지배했는가2014 / 이덕일 지음 / 만권당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 전사 : 이덕일 역사평설2013 / 이덕일 지음 ; 권태균 사진 / 역사의아침
사지를 넘어 귀향까지 : 일제 강제 징용 수기2016 / 지음: 이상업 / 소명출판
(한국사 100년의 기억을 찾아)일본을 걷다2011 / 이재갑 글.사진 / 살림
일제강점기 사회와 문화 : 식민지 조선의 삶과 근대2014 / 이준식 지음 / 역사비평사
다큐멘터리 일제시대 : 항일과 친일 그리고 일상이 어우러진 역사 현장 속으로2019 / 지음: 이태영 / 휴머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