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예술을 하는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기계란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것보다 시키는 일을 철저히 수행하는 것에 더 특화되어 있다는 우리의 일반적인 통념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목차
추천사 들어가는 글 - 인간, 창의를 기계에게 위임하다
제1장. 인공창의까지 138억 년 창의하는 물질 인간 빅뱅에서 다빈치까지 형식의 세계에 의미를 칠해버린 인간 창의에는 있고 진화에는 없는 것 지능과 창의는 어떻게 다를까? 진화적 뇌의 한계를 넘어서다
제2장. 인간창의란 무엇인가 신은 창조하고 인간은 창의한다 끝없는 재조합: 갈라져 나오거나 합쳐지거나 기억은 물질로 확장한다 적응하는 것이 창의적인 것이다 예측하는 인간, 호모 프리디쿠스 학습이 예측을 낳는다 양이 질을 만든다 경쟁: 너무나도 효울적인 창의 플랫폼 네트워크와 창의: 찍고 잇고 오가고 개인이 아니라 시스템이다 보편성이 부르는 다양성의 노래 진화적 창의에 방향성은 없다 진화적 창의에 우열은 없다 우연인가 논리인가 정확한 것이 창의적인 것이다 창의는 잡종: 순수혈통은 없다 개인이 아니라 사회다 아이들은 창의적일 수 있을까
제3장. 인공창의와 예술 예술도 미분할 수 있을까 예술도 예측할 수 있을까 컴퓨터로 들어간 진화 알고리즘 인간의 감정을 배우는 기계 기계와 인간이 같을 필요는 없다 튜링테스트가 말하는 것들 컴퓨터가 창의성을 평가할 수 있을까 알고리즘은 다빈치가 될 수 있을까
4. 인간은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까 그래서 어쩌란 말인가 한가함의 철학이 절실하다 인간의 선택은 인간에게 득이 될까 생명은 예술의 재료가 될 것인가
나가는 글 감사의 글 Bibliography Endnotes
서가브라우징
거리로 나온 미술관: 길 위에서 만나는 예술2022 / 지음: 손영옥 / 자음과모음
플랫폼이 콘텐츠다 : 음악, 영화, 출판 등 콘텐츠 산업의 미래2018 / 지음: 마이클 스미스, 라훌 텔랑 ; 옮김: 임재완, 김형진 / 이콘
예술적 상상력: 보이는 것 너머를 보는 힘2020 / 지음: 오종우 / 어크로스
예술경영: 현대 예술의 매개자 예술경영인을 위한 종합 입문서2020 / 지음: 용호성 / 김영사
노란 꽃 : 서양이 바라본 동양 여자2014 / 우미성 지음 / 쌤앤파커스
예술마을의 탄생: 일상과 예술이 하나2023 / 지음: 이동연, 유사원 / 마리북스
시장으로 간 예술가, 예술2022 / 지음: 이미혜, 이재희 / 이다북스
다빈치가 된 알고리즘 : 인공지능, 예술을 계산할 수 있을까?2018 / 지음: 이재박 / 엠아이디
예술사회학 2023 / 엮음: 데이비드 잉글리스, 존 휴슨 ; 옮김: 신혜경 / 이학사
로봇, 뮤지컬을 만나다2014 / 지은숙 지음 / 휴먼큐브
예술을 보는 눈2015 / 마이클 핀들리 지음 ; 이유정 옮김 / 다빈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3, 로꼬꼬 고전주의 낭만주의2016 /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 염무웅 ; 반성완 옮김 / 창작과비평사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 선사시대부터 중세까지2016 /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 백낙청 ; 반성완 옮김 / 창작과비평사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 르네상스 매너리즘 바로끄2016 /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 백낙청 ; 반성완 옮김 / 창작과비평사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자연주의와 인상주의.영화의 시대2016 /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 백낙청 옮김. ; 염무웅 옮김. / 창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