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불교재의에 집중하여 연행의 연극적 공연 양상과 대본의 문학, 희곡적 실상을 알아본 책으로 연행의 연극적 공연 양상과 대본의 문학, 희곡적 실상을 탐색하였으며, 나아가 문학, 예술사상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파악하는데 초첨을 맞춘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부 제의공연과 희곡문학
제1장_ 무령왕릉 문물의 제의학적 연구
1. 서론
2. 무령왕릉 문물의 불교사적 배경
3. 무령왕릉 출토 문물의 불교적 성향
4. 무령왕릉 문물의 원형과 제의적 성격
5. 무령왕의 추모제의와 신화ㆍ전설
6. 무령왕 제의의 문화적 실상과 위상
7. 결론
제2장_ 사찰재의의 연행과 희곡 양상
1. 서론
2. 사찰재의의 연행 실태
3. 사찰재의의 연극적 형태
4. 사찰재의궤범의 희곡적 전개
5. 결론
제3장_ 영산재의궤범의 문학 장르적 전개
1. 서론
2. 영산재의궤범의 희곡 양식
3. 영산재의궤범의 장르적 분화
4. 결론
제2부 제의 유형과 희곡문학
제1장_ 우란분재와 목련전승의 예술적 양상
1. 서론
2. 우란분재와 목련전승의 원전
3. 우란분재와 목련전승의 문학적 실상
4. 우란분재와 목련전승의 예술적 전개
5. 우란분재와 목련전승의 문화적 전파
6. 결론
제2장_ 「실달태자전」의 희곡적 실상과 공연 양상
1. 서론
2. 「실달태자전」의 찬성 경위와 성격
3. 「실달태자전」의 희곡적 실상
4. 「실달태자전」의 공연 양상
5. 「실달태자전」의 문학ㆍ예술사적 위상
6. 결론
제3장_ 무가의 서사구조와 희곡적 전개
1. 서론
2. 무가의 극본적 형태
3. 무가의 서사적 구조
4. 무가의 희곡적 전개
5. 결론
제3부 신앙의례와 희곡문학
제1장_ 『법화영험전』의 문학적 양상
1. 서론
2. 『법화영험전』의 찬성과 유통
3. 『법화영험전』의 구성과 내용
4. 『법화영험전』의 불교문화적 실상
5. 결론
제2장_ 한ㆍ중 고승전의 문학적 전개
1. 서론
2. 고승전의 원전과 성격
3. 고승전의 찬성 경위
4. 고승전의 장르적 전개
5. 결론
제3장_ 국문불전의 문학적 실상
1. 서론
2. 국문불전의 형성 계통
3. 국문불전의 유통 실태
4. 국문불전의 문학적 실상
5. 국문불전의 문학사적 위상
6. 결론
제4장_ 「왕랑반혼전」의 희곡적 성향
1. 서론
2. 「왕랑반혼전」의 원전과 유통
3. 「왕랑반혼전」의 연행 양상
4. 「왕랑반혼전」의 희곡적 성향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