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부 광야와 도시의 성경적 의미
1장 기독교 미술의 배경 공간-광야와 도시
기독교 미술의 배경 공간 - 광야와 도시
세 장의 예수 십자가 처형 그림
배경 광야 장면을 기준으로 다시 읽는 예수 십자가 처형
배경 도시 장면을 기준으로 다시 읽는 예수 십자가 처형
2장 광야의 탄생-성경 무대의 지질학적 특징
성경 무대의 지질학적 특성 - 비옥한 초승달 vs 척박한 광야 사막
성경 29권에 등장하는 ‘광야’
성경 속 광야의 여러 지명
3장 성경의 두 가지 광야(1)-죄로 물든 이 땅
성경이 기록한 거칠고 척박한 광야
죄로서의 광야(1) - 원죄의 산물, 실낙원
죄로서의 광야(2) - 실낙원 이후 구약 부분
음행, 아골 골짜기, 이 땅의 죄 - 광야의 여러 상태
‘죄’로 일독하는 성경의 역사 - 인간 죄의 보편적인 패턴
4장 성경의 두 가지 광야(2)-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곳
‘죄’에서 ‘구원’으로(1) - 광야의 양면성
원시 구족 신앙의 배경으로서의 광야 - 멸망과 구원의 이중주
구원의 구도(1) - 징벌 뒤 ‘긍휼-회복-소망’
‘죄’에서 ‘구원’으로(2) - 광야의 기적과 역설
은혜의 약속으로 믿음이 완성되는 곳
구원의 구도(2) - ‘물질적 은혜-긍휼과 믿음-영적 은혜’
5장 광야란 결국-하나님의 유목 가치를 실현하는 곳
“먹을 만큼만 거두라” - 광야와 유목 가치
창세기의 교훈 - 유목 가치 vs 정착 가치
구약 성서가 가르치는 유목 가치 - 정착 가치를 꺾다
광야의 유목 가치 - 하나님의 긍휼과 은혜
6장 도시의 탄생-가인, 에녹을 건설하다
성경 속 도시의 위치 -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창세기 원죄 사건 - ‘저주’는 도시를 예언하고
가인의 에녹 건설(1) - 죄의 오묘한 심리적 증폭 과정
가인의 에녹 건설(2) = 네 번의 유리+정착 가치의 심화+자기 절대화
‘실낙원-광야-도시’ - 에녹의 일곱 가지 죄
7장 도시와 거민의 분리 문제-도시는 독립적 인격체이다
에녹 이후, 성경 속 도시의 다양한 모습
도시와 거민의 이중주(1) - 도시와 거민을 분리하지 말라
‘도시 자체’와 거민의 이중주(2) - 도시와 거민을 분리하라
도시의 의인화 - 도시는 독립적 인격체이다
8장 성경 속 도시의 운명-‘심판 vs 구원’의 네 가지 주제
도시는 심판과 멸망의 대상 - “불을 보내어 궁궐들을 사르리라”
도시가 멸망할 때(1) - “네게 남은 자는 살육을 당하리라”
도시가 멸망할 때(2) - “내 백성아 거기서 나와”
창세기 19장 - 소돔의 멸망과 롯의 구원
도시 전체가 구원 받다 - 요나와 니느웨
구원과 멸망의 이중주 - 니느웨의 두 가지 교훈
소돔과 니느웨 - 구원과 멸망의 역설적 양면성
2부 기독교 미술 속 광야와 도시
9장 가인의 광야-심리적 절망과 갈색의 광야
‘회화적 광야’의 다양성 = 화가 이름×성경 사건
‘가인과 아벨’의 세 가지 구도와 레온 보나의 [아벨의 죽음]
보나의 ‘가인의 광야’ - 심리적 접근과 황갈색, 암갈색의 흙
‘땅 → 엉겅퀴 → 흙 → 흙 → 흙’ - 아담의 실낙원에서 가인의 광야로
10장 노아의 광야-심판과 구원의 이중주
노아의 방주 - 다섯 가지 미술 주제
얀 반 스코렐의 [대홍수] - 풍경과 인체로 그린 심판의 광야
노아의 부재 - 죄의 심판을 고발하는 미술적 장치
가인의 부재에서 노아의 부재로 - 죄는 증폭되고
심판 뒤의 구원 - ‘제2의 창조’와 ‘제2의 아담’
천지창조는 ‘제2의 창조’로 이어지고
‘죄’ 이후의 새로운 창조 - ‘긍휼-용서-은혜-부활’의 계획
11장 최후의 심판과 심판의 광야-“해가 검어지고” vs “다시는 사망이 없고”
디르크 보우쓰의 [저주받은 자의 추락]과 심판의 광야
요한계시록과 최후의 심판
실낙원과 대홍수 - 추방에서 대청소로 점증되는 심판
십자가 처형과 신약 정신 - ‘최후의 구원’ vs ‘최후의 심판’
심판과 구원의 이중주는 반복되고
12장 마리아의 광야-스푸마토로 그린 암굴
성모마리아의 다양한 가톨릭 미술 주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암굴의 성모] - 스푸마토와 광야의 ‘변환’
‘광야’로 완성되는 하나님의 말씀
르브룅과 달리의 광야 - 십자가 처형에 동굴 광야를 반복하다
13장 ‘죄의 도시’, 매너리즘으로 그리다
죄로 물든 도시 모습에 잘 어울리는 매너리즘 화풍
니콜로 델 아바테의 [물에서 구출되는 모세] - 도시로 표현한 척박한 죽음
붕괴된 고전 조화 - 상상으로 그린 죄의 도시
폐허 이미지 - 외적 형태로 도시의 ‘죄’를 말하다
14장 ‘죄의 도시’, 폐허로 상징화하다
마르텐 반 헤엠스케르크의 로마 유적 기록 작업
마르텐 반 헤엠스케르크의 [성 히에로니무스가 있는 풍경] - 로마 폐허의 종합 모음
파노라마 풍경의 큰 그릇에 담은 폐허
폐허가 된 로마 - 세 가지 미술 장치로 죄의 도시를 그리다
폐허로 고발한 도시의 죄 - “주민이 없어 완전히 황무지가 될 것이다”
줄리오 클로비오의 [십자가의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 - 공간외포를 채운 폐허
15장 예수의 광야와 예루살렘-겟세마네 동산에서의 고뇌
마가복음과 기독교 미술이 전하는 겟세마네 사건
만테냐와 벨리니 - 서양미술사의 흥미로운 교차점
[겟세마네 동산에서의 고뇌]를 주고받은 만테냐와 벨리니
겟세마네 광야와 예루살렘 - 죄와 구원의 이중주
16장 만테냐의 고전 성화와 벨리니의 서정 풍경화 -광야와 도시로 전하는 구원의 승리
만테냐(1) - 고전주의로 그린 도시와 인체
만테냐(2) - 자연 모방으로 표현한 예외자의 고독
만테냐(3) - 회화로 구축한 광야와 도시의 장경
벨리니(1) - 빛 원근법으로 그린 서정적 광야
벨리니(2) - 빛과 색의 시인이 쓴 따뜻한 인본주의
벨리니(3) - 여명의 고독을 석양의 고독으로 전치하다
벨리니(4) - 광야와 도시, 구원의 완전한 승리
참고 문헌
그림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