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 역사 속의 한국철학
  • 역사 속의 한국철학

    발행연도 - 2017 / 지음: 이종성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40414
    • ISBN 9788975996351
    • 형태 518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한국철학, 사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의 역사 속에 전개된 한국철학의 내용을 단군신화부터 만해 한용운에 이르기까지 전체 14개 주제를 선정하여 시대적 인물과 철학적 주제별로 나누어 검토한 것이다. 한국인의 주체적 자각의 정신을 추적한 철학적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머리에

제01장 단군신화의 원형적 세계관과 풍류정신
1. 단군신화와 역사ㆍ철학의 조응
2.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의 자료
3. 단군신화에 나타난 신과 인간의 유형
4. 단군신화의 철학적 의의
5. 단군신화에 나타난 풍류의 이념과 전승

제02장 원효의 화쟁사상과 무애행의 실천
1. 원효의 생애와 저술
2. 화쟁사상의 내용과 원융회통사상
3. 화쟁사상의 근거와 한마음의 특징
4. 화쟁사상의 구현 또는 무애행과 요익중생의 실천
5. 화쟁사상의 현대적 의의

제03장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에 나타난 화엄사상
1. 의상의 생애와 저술
2. 『화엄일승법계도』의 도인과 내용
3. 『화엄일승법계도』의 특징과 의의
4. 의상의 화엄사상에 대한 평가

제04장 지눌의 돈오점수와 정혜쌍수 사상
1. 목우자, 십우도와 같은 삶의 여정
2. 교선일치로부터 선교일치에로
3. 돈오점수 사상
4. 정혜쌍수 사상
5. 철학적 의의와 돈점논쟁의 새로운 점화

제05장 삼봉 정도전의 불교 배척의 내용과 성격
1. 성리학의 도입과 수용기의 핵심 인물들
2. 삼봉의 불교 배척에 관한 기본입장
3. 이론적 측면에 대한 불교 배척의 논변
4. 전대 사실을 통한 불교 배척의 논변
5. 삼봉 불교 배척의 성격과 의의

제06장 퇴계 이황의 철학적 입장과 ‘경’사상
1. 퇴계의 생애와 저술
2. 주체적 도덕주의의 입장
3. 가치론적 내원과 리의 능동성 문제
4. ‘경’사상과 『성학십도』의 내용
5. 후대의 영향과 평가

제07장 고봉 기대승의 학문정신과 철학사상
1. 율곡철학과의 유사성 찾기
2. 학문정신의 기본입장
3. 성리학적 관점
4. 경세론의 입장
5. 논의의 종합과 의의

제08장 우계 성혼의 도학적 삶과 학문연원
1. 문제의 소재
2. 우계 성혼의 시대와 생애
3. 우계 성혼의 도학적 학문연원
4. 논의의 종합과 전망

제09장 율곡 이이의 대동사회론과 철학적 지향
1. 문제의 소재
2. 대동사회론의 사상적 연원
3. 대동사회의 지향과 소강(少康)사회의 강조
4. 담론의 전환과 왕도정치론의 의의
5. 논의의 종합과 전망

제10장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사유의 기초
1. 시대와 생애
2. 주자학에 대한 비판적 입장
3. 사물의 차이성에 대한 강조 또는 주체의 발견
4. 공허한 사변의 거부와 경험적 지식의 강조
5. 생활세계의 중시와 지행합일의 목표
6. 탈주자학적 실학사상의 토대

제11장 남당 한원진의 역사인식과 조선중화주의
1. 남당이 본 역사인식의 기초
2. 역사 교훈주의와 사례역사의 거울
3. 조선중화주의의 의리론적 입장과 특징
4. 남당 역사인식의 철학적 의의

제12장 성담 송환기의 「태극도설」 해석의 기본입장
1. 문제의 소재
2. 무극과 태극의 관계
3. 음양의 움직임과 고요함에 관한 문제
4. 오행의 세 가지 전개순서
5. 건곤남녀와 만물화생의 선후문제
6. 중정인의의 선후와 체용의 관계
7. 논의의 종합과 의의

제13장 간정 이능화 『조선도교사』의 학술사적 의의와 한계
1. 간정 이능화의 생애와 저작
2. 『조선도교사』의 구성 체계
3. 『조선도교사』의 철학사적 의의
4. 『조선도교사』에 내재된 몇 가지 한계들
5. 논의의 종합과 전망

제14장 만해 한용운이 본 주체의 문제와 민족자결의 원칙
1. 문제의 소재
2. 주체성의 발견과 무아의 혁명
3. 불교적 주체에 대한 반성과 불교유신론
4. 문명과 야만의 경계
5. 민족자결의 원칙과 독립정신
6. 논의의 종합과 의의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 삶을 바꾼 스승과 제자의 만남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 삶을 바꾼 스승과 제자의 만남 2021 / 지음: 전호근 / 사우
感應의 哲學 = The ganying philosophy : the world view of the East, reestablished through East Asian medicine and Chinese alchemy : 한의학과 연단술에서 읽어낸 동양의 시선 感應의 哲學 = The ganying philosophy : the world view of the East, reestablished through East Asian medicine and Chinese alchemy : 한의학과 연단술에서 읽어낸 동양의 시선 2015 / 정우진 지음 / 소나무
조용헌의 인생독법 조용헌의 인생독법 2018 / 조용헌 지음 / 불광출판사
조선 성리학의 순교자 송자 : 우암 송시열 선생 공부하기 조선 성리학의 순교자 송자 : 우암 송시열 선생 공부하기 2018 / 남간사유회 편저 / 오늘의문학사
때문에= BECAUSE: ‘때문에’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탐구 때문에= BECAUSE: ‘때문에’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탐구 2020 / 지음: 선우 환 / 아카넷
대한민국철학사: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대한민국철학사: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니체처럼 사랑하고 세네카처럼 현명하게  니체처럼 사랑하고 세네카처럼 현명하게 2024 / 지음: 윤지원 / 유노책주 :
역사 속의 한국철학 역사 속의 한국철학 2017 / 지음: 이종성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한국의 유학(儒學)과 의학(醫學) 한국의 유학(儒學)과 의학(醫學) 2019 / 지음: 성호준 / 심산
한국 신유가 철학 한국 신유가 철학 2015 / 이종우 지음 / 문사철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 2022 / 지음: 정민 / 김영사
조선 성리학의 형성과 심화 조선 성리학의 형성과 심화 2018 / 지음: 권오영 / 문현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2018 / 김형찬 지음 / 바다출판사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2019 / 이황 지음 ; 이광호 옮김 / 홍익
1583년의 율곡 이이 1583년의 율곡 이이 2019 / 지음: 곽신한 / 서광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집을 짓고 건축가를 만나라  : 건축가가 들려주는 후회 없는 집짓기 집을 짓고 건축가를 만나라 : 건축가가 들려주는 후회 없는 집짓기 2014 / 강미현 지음 / 효형출판
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2018 / 지음: 조병희 ; 이재열 ; 구혜란 ; 유명순 ; 박상희 ; 양준용 / 21세기북스
(슬로푸드 건강법)천연발효식품 : 세계편 (슬로푸드 건강법)천연발효식품 : 세계편 2018 / 산도르 엘릭스 카츠 지음 ; 김소정 옮김 / 전나무숲
한국철학사상사 한국철학사상사 1998 / 한국철학사연구회 지음 / 한울아카데미
호모헌드레드와 문화산업  : 대중문화 백세를 품다 호모헌드레드와 문화산업 : 대중문화 백세를 품다 2018 / 지은이: 임진모, 이재광, 전찬일, 이채원, 최현규, 이재욱, 이한규, 이혜경 / 온하루 출판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한민국철학사 대한민국철학사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사랑하지 말자 사랑하지 말자 2013 / 김용옥 지음 / 통나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2013 / 조남호 지음 / 김영사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2018 / 지음: 김형찬 / 바다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2015 / 금장태 지음 / 바오로딸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2012 / 함규진 지음 / 한길사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2013 / 정약용 지음 ; 노만수 엮어옮김 / 앨피
율곡 인문학 : 조선 최고 지성에게 사람다움의 길을 묻다 율곡 인문학 : 조선 최고 지성에게 사람다움의 길을 묻다 2017 / 지음: 한정주 / 다산북스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2019 / 지음: 이황, 옮김: 이광호 / 홍익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2015 / 편: 한국철학회 / 철학과 현실사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2013 / 김현영 외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2017 / 지음: 오구라 기조 ; 옮김: 조성환 / 모시는사람들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2003 / 한상우 지음 / 현암사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2005 / 정약용 지음 ; 장승희 풀어씀 / 풀빛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2010 / 김용헌 지음 / 웅진씽크빅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1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1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