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근대화의 정치사상 = Korea's political thoughts of modernization
발행연도 - 2018 / 지음: 황태연 / 청계출판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43409
-
ISBN
9788961270762
-
형태
1008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한국정치
책소개
<갑오왜란과 아관망명>, <백성의 나라 대한제국>, <갑진왜란과 국민전쟁>이라는 연작을 잇달아 내놓으며 1894년 동학농민전쟁부터 1943년 카이로선언까지 50년의 한국근대사를 바라본 동국대학교 황태연 교수가 그 대장정에 마침표를 찍는 정치철학서를 펴냈다.
목차
머리말
서론: 한국근대화론의 재정립
제1장 '실학의 신화'의 청산과 진정한 근대화 동력의 탐색
1. 실학은 '근대화사상'인가?
2. 근대국가 '대한제국'과 근대화의 정치사상
제2장 조선중화론과 근대 민족국가 대한제국의 창건
1. 공자와 맹자의 하이관夏夷觀
2. 주희와 송시열의 하이관
3. 풍토·정신·체질·물질결정론과 패치워크문명론
4. 북학파의 조선중화론의 청산
5. 최익현과 유인석의 정통파 조선중화론과 변절
6. 근왕적 유생대중의 '반일·대청 조선중화론'과 제국건설
제3장 신존왕주의와 자주적 칭제건원론
1. 군민君民직통 민의상달 제도와 신존왕주의의 태동
2. 동학사상과 정씨왕조도래설의 해소
3. '경사 직향'의 신종왕주의의 흥기
4. 근세 유럽과 일본, 그리고 미국의 신존왕주의
5. 신존왕주의와 대한제국의 창건
제4장 민국사상과 근대 국민국가의 창조
1. 민유방본론과 민국이론
2. '민국' 국체: '평민국가' 또는 '국민국가'
3. 민국의 실질적 기초
4. 민국이념과 '민국'의 용례
5. 양반 없는 일군만민의 민국건설과 신분해방
제5장 구본신참론과 광무개혁
1. 동도서기론의 제諸문제와 이론적·실천적 한계
2. 고종의 구본신참론과 광무개혁
3. 광무개혁과 대한제국의 세계적 부상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1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