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고전적 도덕교육 이론의 이해
제1장 고전적 도덕교육 이론의 해부
1. 개인과 사회의 관계
2. 윤리학에서 이성: 도덕성은 합리적인가?
3. 도덕 원리
4. 도덕적 지식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
5. 도덕교육을 받은 사람의 모습
6. 도덕교육의 목표
7. 교사의 역할
제2장 정의 공동체 접근법
1. 콜버그의 도덕 발달 연구 개관
2. 도덕교육 전략으로서의 도덕 딜레마 토론
3. 교육사회학적 전환
4. 도덕적 분위기에 대한 관심
5. 정의 공동체 접근법의 개요
6. 정의 공동체에서의 교사의 역할
7. 정의와 배려의 통합
8. 정의 공동체 접근법의 도덕교육적 효과
9. 학교 풍토 쇄신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
제3장 블라지의 자아 모델
1. 도덕적 동기화의 원천
2. 블라지의 도덕 정체성 모델
3. 블라지의 자아 모델의 강점과 약점
제4장 인격교육, 다문화교육과 도덕교육
1. 인격교육의 기본 성격
2. 다문화교육의 기본 성격
3. 인격교육과 다문화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
제5장 긍정심리학의 덕 가설과 도덕교육
1. 긍정심리학의 개념과 연구 주제1
2. 긍정심리학에서의 성품 강점과 덕목
3. 긍정 심리학에서 덕 가설의 문제점
제2부 현대 도덕교육에서 핵심 구인의 이해
제6장 도덕 정체성과 도덕교육
1. 도덕 정체성에 대한 접근법
2. 도덕 정체성에 관한 연구
3. 도덕 정체성의 형성
제7장 신경과학과 도덕교육
1. 도덕적 전문 기술의 발달
2. 도덕 심리에 대한 삼층 윤리 이론
3. 가정에서의 신경도덕교육
4. 학교에서의 신경도덕교육
5. 성인기의 신경도덕교육
제8장 학교 유대감과 도덕교육
1. 학교 유대감의 의미와 중요성
2. 학교 유대감의 이론적 토대
3. 학교 유대감의 경험적 증거
제9장 공포 관리 이론과 도덕교육
1. 공포 관리 이론의 개관
2. 편견과 공포 관리 이론
3. 공포 관리 이론의 유용성과 반편견교육적 함의
제10장 행복과 도덕교육
1. 긍정심리학에 대한 이해
2. 긍정심리학과 웰빙교육
3. 도덕과에서의 행복교육에 대한 시사점
제11장 감사와 도덕교육
1. 감사의 개념과 도덕적 본질
2. 감사의 발달과 긍정적 효과
3. 감사 성향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
제12장 희망과 도덕교육
1. 희망의 의미 이해
2. 아동 발달에서 희망의 긍정적 효과
3. 희망 성향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수 전략
제13장 고양(elevation)과 도덕교육
1. 고양의 개념 정의
2. 고양의 생리학적 토대와 기능
3. 고양과 유사 정서와의 관계
4. 고양의 단기적·장기적 효과
5. 도덕교육에서 고양의 중요성과 교육 방법
제14장 회복탄력성과 도덕교육
1. 회복탄력성에 대한 이해
2. 교실에서의 회복탄력성 증진 방안
제3부 현대 사회의 도덕 문제와 도덕교육
제15장 사이버 불링과 도덕교육
1. 사이버 불링의 개념 정의와 특징
2. 사이버 불링의 현황과 폐해
3. 도덕 교과에서의 사이버 불링 예방 교육
제16장 인터넷 중독과 도덕교육
1. 인터넷 중독 현상의 이해
2. 자기 배려의 실패로서의 인터넷 중독
3. 도덕 교과에서의 인터넷 중독 예방 교육
제17장 노인 차별과 도덕교육
1. 노인차별주의의 개념 분석
2. 노인차별주의의 원인과 결과
3. 도덕 교과 교육에의 시사점
제18장 도덕적 생명 향상과 도덕교육
1. 도덕적 생명 향상의 의미와 필요성
2. 도덕적 생명 향상의 윤리학적 오류
3. 도덕적 생명 향상의 도덕교육적 오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