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도화 시인의 첫 시집. 시인은 길 위, 어느 지점에서 만난 세밀한 감각들을 재구성하여 원고지에 그 실체를 그려낸다. <강, 詩의 몸 위를 걷다>가 한결같이 전경으로 삼고 있는 것은 자연과 체험, 기억의 공간을 통해 삶의 아름다운 깊이를 구상화한다는 점이다.
목차
시인의 말 ― 4
1부 ― 봄, 이건 NG야
봄, 이건 NG야 ― 12
공사 중 ― 14
도마가 새벽을 깨운다 ― 16
천 원의 필연 ― 18
친정 동네 구멍가게 ― 20
하루치 신발의 무게 ― 22
일용직 ― 24
시간을 얼리다 ― 26
별등과 어머니 ― 28
말의 알갱이들 ― 30
여행 ― 32
오징어도 울음이 있었다 ― 34
가을 오선지 ― 36
달빛 ― 38
빨래하던 날 ― 39
시래기가 익다 ― 40
소리가 깜깜하다 ― 42
시간을 빌려드립니다 ― 44
젖은 리어카 ― 46
2부 ― 강, 詩의 몸 위를 걷다
강, 詩의 몸 위를 걷다 ― 48
새벽 인력시장 ― 50
동창생 ― 52
워낭과 동행 ― 54
하늘, 갈대를 느리게 읽다 ― 56
누에와 詩 ― 58
빨래와 주름 ― 60
엄마의 등 ― 62
아버지의 길 ― 64
빨래에도 나이테가 있다 ― 66
닭발의 기억 ― 68
오후 여섯 시 ― 70
꽃 무덤 ― 72
시작詩作 여행 ― 74
10월의 마지막 ― 76
비 내리는 곰배령 ― 78
눈目에 대한 기억 ― 80
소나기 ― 82
3부 ― 인문학을 스케치하다
인문학을 스케치하다 ― 84
소문이 무성하다 ― 86
아궁이에 몸 풀다 ― 88
마당 이발소 ― 90
지붕 없는 해우소 ― 92
분리수거 ― 94
길에서 비를 만나다 ― 96
어느 일요일 ― 98
어떤 길 ― 100
엄마의 시간 ― 102
한파경보에 대한 단상 ― 104
빈 둥지 ― 106
직선의 기억 ― 108
장날의 애가哀歌 ― 110
된장찌개 끓이는 저녁 ― 113
바람을 돌리는 언덕 ― 114
저녁 무렵 ― 116
동백터널 ― 118
눈꽃상여 ― 120
4부 ― 젖은 주소에 지문이 가득하다
젖은 주소에 지문이 가득하다 ― 124
시월 안개 ― 126
구멍 뚫린 우산 ― 128
태백 가는 길 ― 130
그날의 언저리 ― 132
월정사 선재길 ― 134
풍경소리 ― 136
길 ― 138
경계주의보 ― 140
배꼽 ― 142
겨울 아침에 ― 144
상고대 ― 146
묘목상 봄 ― 148
하루살이버섯 ― 150
울음이 빛나는 밤 ― 152
산국 ― 154
그 해 강릉은 ― 156
발문 ‘자연을 잇는 길 위에서’ 기억으로의 귀환 ― 159
― 강, 詩의 몸 위를 걷다 (박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