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서문 심문받으며 쓴 자술서, 펑더화이의 분투와 비운의 죽음
출판에 대한 설명
제1장 어린 시절, 소년기의 처지 1898~1916
제2장 상군湘軍의 병사가 되다 1916년 3월~1921년 가을
상군에 들어가 병사가 되다
북양군벌의 부대 정황을 정찰하다
장징야오를 몰아내는 전역戰役
급료소요의 바람
후베이성 자치를 지원하다
제3장 빈민구제에 뜻을 세우다 1921년 가을~1925년
악질 지주 어우성친을 죽이다
구빈회 회칙을 몰래 의논하다
광둥으로 가 친구를 찾다
병사 생활 6년의 감상
집에 돌아와 농사를 짓다
호남군관 강무당에 입학하다
호남군의 모순과 구빈회 활동
몇 번 집에 돌아왔을 때 상황
제4장 중국공산당을 찾다 1926~1928년 4월
북벌에 참가하고 돤더창과 사귀다
사병위원회를 결성하다
국민당이 혁명을 배신하다
탕성즈 부대의 동쪽 정벌이 실패하다
신저우전투
연대장이 되다
난현 청향위원회 설립을 분쇄하다
중국공산당에 가입하다
입당 소개인과 입당 날짜 문제에 관하여
제5장 핑장기의 1928년 봄~1928년 7월
독립 5사단 병영학교를 설립하다
급료소요
핑장 출동
기의를 결심하다
“우리는 기의하였다!” 핑장기의의 전말
간단한 맺음말
제6장 징강산으로 가다 1928년 8월~1929년 7월
3성의 합동토벌을 분쇄하고 상악감 변구를 건설하다
홍4군과 홍5군이 처음으로 징강산에서 만나다
징강산 포위를 돌파하다
홍4군과 5군이 루이진성에서 2차로 만나다
안푸를 공격하다
제7장 다시 상악감 변구로 돌아오다 1929년 8월~1930년 6월
상악감 변구로 돌아오다
중앙 순시원 판신위안과의 대화
위안원차이·왕줘 사건
변구 전성기, 중앙에서 4월에 편지를 보내오다
뤄린·궈루둥 사단의 공격을 분쇄하다
제8장 창사를 치다 1930년 6월~1930년 9월
우창 공격과 리리싼노선의 문제에 관하여
웨저우를 점령하다
첫 번째 창사 공격
제1방면군 설립과 2차 창사 공격
제9장 제1차에서 제4차 반포위토벌 투쟁 1930년 9월~1933년 2월
3군단이 동쪽으로 간장강을 건너다
위조편지를 폭로하고 1차 포위토벌을 분쇄하다
2차 포위토벌을 분쇄하다
황메이좡을 죽이다
3차 포위토벌을 분쇄하다
새로운 소비에트구를 만들고 군중공작을 배우다
간저우를 치다
4차 포위토벌을 분쇄하다
제10장 5차 반포위토벌 전후 점차 왕밍노선을 인식하다 1931년 11월~1934년 9월
롄청전투
19로군과 담판하다
푸젠사변과 5차 반포위토벌의 시작
탄춘전투
광창전투
제11장 장정長征부터 3대 주력이 합류하기까지 1934년 10월~1936년 12월
왕밍 좌경 기회주의 노선의 결과
쭌이회의에서 후이리회의까지
4방면군을 만나 장궈타오에 대하여 투쟁하다
홍군, 장정에서 초지를 벗어나다
산베이에 대한 3차 포위토벌을 분쇄하다
황허를 동쪽으로 건너 산시로 진군하다
6월에 서쪽으로 출병하다
제12장 항일전쟁 1937년 7월~1945년 8월
홍군을 8로군으로 개편하다
군사위원회 화베이 분회의 지시에 관하여
2차 왕밍노선에 관하여
반마찰 전역
백단대전
제13장 해방전쟁 1946년~1947년 10월
옌안에서 철수하다
칭화볜·양마허·판룽전투
방어에서 공격으로 바꾸다
신식으로 군을 정돈하다
와쯔제 전역에서 란저우를 공격하여 점령하기까지
두 번의 잘못과 귀중한 경험
제14장 미국에 맞서 조선을 지원하다 1950년 10월~1953년 7월
출병하여 조선을 지원하다
1차 전역
2차 전역
3차 전역
4차 전역
5차 전역
제15장 루산회의 전후 1959년
루산회의 전후 상황에 관하여
7월 23일, 엄중한 시련을 겪다
부록 1 펑더화이 동지가 1959년 7월 14일 마오 주석에게 보낸 편지
부록 2 마오쩌둥과 펑더화이의 대화 - 1965년 9월 23일 펑더화이의 기록
옮긴이 후기 신실한 혁명가에게 닥친 가혹한 운명
■ 펑더화이 연표
■ 주요 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