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우를 사랑해요 : 1948년, 한국을 사랑한 일본인의 한우 이야기
발행연도 - 2018 / 지음: 마쓰마루 시마조 ; 옮김: 목련꽃회, 이해진 ; 그림: 김석출, 김영숙 / 논형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23387
-
ISBN
9788963571997
-
형태
142 p. 20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농업, 농학
>
축산학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조선총독부의 축산 담당 관료였던 한 일본인의 '한우' 사랑이야기. 패전과 함께 귀환 후 일본의 청소년과 재일동포 소년소녀를 향한 조국의 뿌리를 잊지말라는 통렬한 반성문도 함께 하고 있다. 역자는 1948년, 어린 소년이었지만 이제 팔순을 넘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1. 이 책을 쓴 이유
시꺼먼 소와 누렁 소
일본인의 근거 없는 편견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
2. 한우는 세계의 보물이다
여러분의 고향 사정
세계에 자랑할 만한 한우
일본에 사는 한우
한국인의 생활과 한우
한우에 대한 몇 가지 의문
3. 말은 지배자의 소유물이었다
한국의 말
자본주의와 말
말은 무기의 역할을 해왔다
신라의 말
고려의 말
조선의 말
4. 한우는 한국인의 벗이다
한우가 걸어온 길
한국의 농업과 소
한우와 귀족, 호족들
소의 역할과 역사
고려의 한우
원나라 침입과 한우
조선의 한우
5. 한우는 왜 우수한가
한우의 우수성
일 잘하는 한우
한국과 일본의 소사용의 차이점
질 낮은 사료를 먹고서도 일 잘하는 한우
농가의 빈곤과 한우
한국의 풍토와 소
한우에게도 결함은 있다
한우는 서서히 성장하는 품종
농사 경영규모와 소 몸집의 크기
한우와 우유
6. 1948년, 한우의 현주소
한국에 한우는 얼마나 있는가?
한국에서는 소가 너무 많은 것인가?
한국에서는 앞으로 소를 얼마나 증산해야 하는가?
사람들의 가난이 소 증산을 가로막고 있다
7. 한우를 과학적으로 기르자
한우를 과학적으로 기르자면……
한우의 소질을 잘 알아야 한다
역사 공부도 필요하다
맺음말
■ 옮긴이의 말
■ 추도비 건설을 위한 목련꽃회(もくれん会)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