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문제 제기와 연구 필요성
2. 선행 연구와 연구 동향
3. 지역 극장의 분포와 입지 상의 특징
3.1. 근대극 도입기 지역 극장의 분포 현황
3.2. 지역 극장의 외부 경관과 내부 정경
3.3. 시장의 변화와 극장의 대체
3.4. 일본의 도시 구획과 극장의 위치
3.5. 극장의 내력과 극장 소개
3.6. 이전 혹은 신축 사례와 그 이유
3.7. 지역의 대표 극장과 경쟁 극장 체계
4. 지역 극장의 설립 유형과 운영자들
4.1. 개인 상인(사업가) 소유 유형
4.2. 주식회사 결성 유형
4.3. 문화계 인사(지식인) 주도 유형
4.4. 공회당 겸용 유형
4.5. 관부 주도 ‘대옥극장’ 유형
4.6. 지역 극장의 운영자들과 그 방식
5. 지역 극장의 경영 방식과 그 특징
5.1. 창립 공연의 내용과 성향
5.2. 외부 협력 단체와의 공조
5.3. 직영 극단의 창설과 운영
5.4. 지역 극장의 변사와 활동
5.5. 지역 주민과의 친화 경영
6. 지역 극장의 용도와 그 활용
6.1. 문화예술의 공간
6.2. 시민과 여론의 공간
6.3. 준공공기관의 역할
6.4. 자생 문화 창달의 기반
7. 지역 극장의 공간적 위상
7.1. 종족 간 경계와 길항의 공간
7.2. 다목적 공간으로서의 지역 극장과 지역민의 심정적 거리
7.3. 멀고 낯선 체험에 대한 접촉과 동경의 욕구
7.4. 인간 의식의 거주지이자 시간에 저항하는 본거지
7.5. 지역 극장의 의미와 공간의 층위
8. 지역 극장의 의의와 한계
8.1. 종족적인 것과 비종족적인 것 사이의 경계와 그 전이
8.2. 조선 문화의 보호와 육성을 위한 교두보 확보
8.3. 식민지 조선 사회와 극적 갈등의 상동성 제고
9. 조선 민중에게 지역 극장의 의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