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국의 낳은 세계적인 종교사상가, 한국적 ‘기독교 해석 틀’을 창출한 ㅎㆍㄴㅂㆍㄺ성경해석학의 창시자, 그리고 풍류와 신선사상을 세계 신학계에서 최초로 정초한 풍류학자로 평가받고 있는 ㅎㆍㄴㅂㆍㄺ 변찬린의 종교사상을 실천화한 ‘새 교회운동’을 포스트 종교운동의 한 사례로 조명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편 한밝 변찬린의 한국종교사적 위상
1. 한밝문명사가 한밝선생
1.1 한밝문명의 탄생
1.2 영생문화와 종교 질서
1.3 자율공생과 정치 질서
1.4 유무상통과 경제 질서
2. 풍류학자로서의 변찬린
2.1 풍류체와 영성적 인간
2.2 풍류심과 장자론
2.3 풍류객과 공동체
3. 종교개혁가로서의 변찬린
3.1 한밝성경해석학의 창시자
3.2 새교회운동의 창립자
제2편 한국의 종교운동
1. 종파종교의 개혁운동
1.1 유교운동약사
1.2 한국의 불교운동
1.3 풍류와 선, 도교 그리고 민속신앙
1.4 그리스도교의 종교운동
2. 신종교의 제도종교화
3. 신영성운동
4. ‘인간혁명’과 씨알종교공동체운동
5. 한국 종교운동의 역사적 과제
제3편 한국 종교문화 현상 비판
1. 직업종교인 유형과 비판
1.1 교주형 직업종교인
1.2 기복 부흥사형 직업종교인
1.3 권력지향형 직업종교인
1.4 식민신학형 직업종교인
1.5 교파신도형 직업종교인
2. 종교신앙 유형별 비판
2.1 피안신앙의 폐해: 죽으면 하늘나라 간다
2.2 노예신앙의 병폐: 건물교회에 구원있다
2.3 바울신앙의 오해: 믿음으로만 구원을 얻는다
2.4 교리신앙의 편견: 교리를 벗어나면 ‘이단’이다
3. 한국교회 유형별 비판
3.1 교회약사
3.2 건물교회
3.3 교파교회
3.4 기업교회
제4편 새교회운동
1. 종교운동으로서 새교회운동
2. 새교회의 신념체계
2.1 새교회의 개념과 의미
2.2 새교회 문장
2.3 새교회와 〈기도문〉
2.4 새교회와 〈칠신경〉
3. 새교회운동의 역사와 그 변천
3.1 변찬린 생전의 새교회운동
3.2 변찬린 사후의 새교회운동
3.3 반통일교회로서의 새교회운동
3.4 한밝선당의 생활혁명프로젝트
4. 새교회운동의 평가와 남겨진 과제
4.1 초종교로서의 진리공동체
4.2 새 문명의 예언공동체
4.3 새 시대의 생활영성공동체
제5편 포스트종교운동의 지향점
1. 종교를 왜 신앙하는가?
2. 종교권위에 저항하라
3. 건물성전을 해체하라
4. 종교경전을 해방하라
5. 인격신앙, 인격공동체 체험을 통한 생활공동체를 만들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