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요 등장인물
책머리에
1. 지금 제자백가를 읽는 이유
2. 국가를 바꾸면 세상이 바뀐다
3. 유가·법가·묵가·도가의 논쟁
4. 변증법, 진실과 어불성설을 구별하는 힘
여는 글: 제자백가의 시대
1. 통치는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
2. 국가의 탄생
제1장 다스림의 근본: 인덕仁德인가 법술法術인가?
1. 맹자의 전통 대 한비자의 변법
2.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
3. 다스림의 주역은 군주인가 군자인가
4. 기밀주의 대 공개주의
제2장 법치와 질서, 경제, 전쟁
1. 법치론: 법의 효용과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2. 전국시대 경제와 전쟁에 대한 논의
사회자 평론 – 활을 끝까지 당기면 시위가 끊어진다
제3장 전국시대의 계급투쟁, 묵자와 순자의 예 논쟁
1. 예의 본질: 질서의 열쇠인가 차별의 굴레인가
2. 음악의 본질: 교화의 수단인가 혼란의 단서인가
3. 장례의 본질: 산 사람을 위한 절제 대 죽은 사람을 위한 정성
4. 전쟁을 이해하는 관점
사회자 평론 - 묵가는 유가를 살찌웠다
제4장 장자, 절대적 생명과 평등을 부르짖다
1. 소용없는 것의 소용
2. 만물은 평등하다
3. 최상의 참여는 관조
4. 장자의 정치관
사회자 논평 - 무위는 존중이다
에필로그: 고대철학과 실용학문
1. 철학이 실용학문을 이끈다
2. 철인의 삶, 상갓집 개와 버림받은 처녀
부록: 플라톤의 국가론에 비추어본 고대 중국
1. 명예제
2. 과두제
3. 민주제, 그리고 참주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