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첫머리에
1부 서사민요에 나타나는 서사의 원리와 전통
1장 서사민요 연행에 나타나는 서사 전개방식의 원리
2장 현전 민요에 나타난 고려 속요의 전통
3장 고려 속요에 나타난 민요적 표현과 슬픔의 치유방식: <만전춘별사>, <오관산>, <정석가>를 중심으로
2부 서사민요의 지역문학적 성격과 문화적 특질: 경기ㆍ충청ㆍ호남 지역
1장 서사민요의 지역문학적 성격: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2장 서울ㆍ경기 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양상과 문화적 특질
3장 충청 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양상과 문화적 특질
4장 전남 지역 서사민요의 유형분류와 존재양상
3부 서사민요의 지역문학적 융합과 소통: 강원ㆍ영남ㆍ제주 지역
1장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2장 영남 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적 특질: 호남 지역 서사민요와의 비교를 위하여
3장 영ㆍ호남 서사민요의 소통과 경계
4장 제주 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양상
4부 가족 갈등 관련 서사민요의 짜임과 스밈
1장 <그릇 깬 며느리 노래>의 전승양상과 향유의식
2장 <친정부음 노래>의 서사구조와 향유의식
3장 <사촌형님 노래>에 나타난 체험과 정서의 소통
4장 <사촌형님 노래>의 소통 매체적 성격과 교육
5부 사랑과 죽음 관련 서사민요의 짜임과 스밈
1장 <쌍가락지 노래>의 서사구조와 전승양상
2장 <이사원네 맏딸애기> 노래의 전승양상
3장 <이사원네 맏딸애기> 노래의 서사적 특징과 현실의식
4장 <저승차사가 데리러 온 여자> 노래의 특징과 의미: <애운애기>, <허웅애기> 노래의 관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