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양 인문학 전공자들의 필독서’, ‘실증주의에 입각한 탁월한 고대 연구서’, ‘역사적 저작들의 가장 위대한 고전 중 하나’. 테오도르 몸젠Theodor Mommsen(1817~1903)의 《로마사 Romische Geschichte 》를 수식하는 표현들이다.
목차
옮긴이 서문
제1장 서론
고대 역사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역사
제2장 이탈리아로의 최초 이주
이탈리아의 초기 종족들
이아퓌기아 인
이탈리아 인
이탈리아 어와 희랍어의 관계
라티움 어와 움브리아·삼니움 어의 관계
인도·게르만 어
희랍·이탈리아 문화
농경
경제 이외의 모습
이탈리아와 희랍의 이름 체계
가족, 국가, 종교
예술
제3장 라티움 사람들의 정착
인도·게르만 어족의 이주
이탈리아에서 라티움 인의 확장
라티움
라티움 정착
부락
초기 부락의 위치
라티움 부락 연맹체
제4장 로마의 시작
람네스 부족
티티에스 부족과 루케레스 부족
라티움의 로마 정주지
로마 지역의 특징
로마 지역의 초기 경계
팔라티움
일곱 언덕
팔라티움 언덕 주변의 초기 정착
퀴리날리스 언덕의 로마 인들
팔라티움과 퀴리날리스 공동체의 관계
제5장 로마의 초기 국가 체제
로마 가족
가부장과 그 권한
가족과 씨족
가족의 의탁인
로마 공동체
왕
공동체
시민의 평등
시민의 공역
시민의 권리
원로원
원로원의 권한
국헌의 수호자 원로원
자문기관으로서의 원로원
로마의 초기 국가 체제
제6장 비시민과 국가 체제의 개혁
팔라티움 지역과 퀴리날리스 지역의 융합
시민과 영주민
공동체 외곽에서 살아가는 영주민
상민
세르비우스 개혁
인구조사
세르비우스 군대 정비의 정치적 효과
제7장 라티움 지방에서 로마의 패권
로마의 영토 확대
아니오·알바롱가의 영토
초기 정복지에 대한 처분
로마와 라티움의 관계
알바롱가 몰락 이후 로마의 확장
수도 로마의 확장 : 세르비우스 성
제8장 움브리아ㆍ사비눔 부족 : 삼니움 부족의 시작
움브리아ㆍ사비눔 부족의 이주
삼니움 부족
제9장 에트루리아 인
에트루리아 민족
에트루리아 인의 고향
에트루리아 인의 뤼디아 기원설
에트루리아 인의 이탈리아 정착
에트루리아
에트루리아와 라티움의 관계
타르퀴니우스 집안
에트루리아의 국가 체제
제10장 이탈리아의 희랍인 : 에트루리아 인과 카르타고 인의 제해권
이탈리아와 주변 민족들
이탈리아의 페니키아 사람들
이탈리아의 희랍인 : 희랍 식민지
희랍 식민지 활동의 시기
희랍 이주민들의 성격
아카이아 식민 도시들
이오니아·도리아 식민지
타렌툼
베수비우스 근처의 식민 도시들
아드리아 해 지역의 희랍인들
이탈리아 서해안의 희랍인들
희랍과 라티움
희랍과 에트루리아
희랍과 페니키아의 경쟁
제11장 법과 법정
이탈리아 역사의 현대적 성격
사법제도
민사재판
절도
계약
후견 제도
상속제도
노예해방
피호민과 영주민
로마법의 특징
제12장 종교
로마의 종교
아주 오래된 로마 공공 축제
마르스와 유피테르
로마 신들의 특징
정령
사제
신탁 중재자
외국 종교
사비눔의 종교
에트루리아의 종교
제13장 농업, 상업과 무역
농업
공동경작
포도 농사
올리브 재배
무화과
농가 경영
대토지 소유
공동 초지
수공업
이탈리아 내의 상업 활동
해양 무역
무역에 적극적인 에트루리아, 수동적인 라티움
에트루리아와 아티카, 라티움과 시킬리아
제14장 측량과 문자
십진법과 십이진법
희랍 도량형
희랍의 영향을 받기 전 이탈리아 역법
희랍 알파벳의 이탈리아 도입
이탈리아 알파벳의 발전
결과
언어와 문자의 변이
제15장 예술
이탈리아 인의 예술적 재능
라티움의 춤과 음악과 노래
종교적 가창
칭찬 노래와 비방 노래
가면 익살극
운율
가락
가면
라티움에서 초기 희랍의 영향
라티움에서 시와 교육의 특징
사비눔과 에트루리아의 춤과 음악과 노래
초창기 이탈리아 건축물
사비눔과 에트루리아에서 초기 희랍의 영향
이탈리아의 조형예술
연표
찾아보기